본문 바로가기

경제활동

대통령 지시에 따라 창동역 지하화 추진, GTX-C 연내 착공 본격화, 우리나라 70년간 주요 경제지표의 변화.., 우리나라 70년간 주요 경제지표의 변화..

반응형

 

◈ 보도자료(=국토교통부)로 보는 시장흐름

1. 대통령 지시에 따라 창동역 지하화 추진, GTX-C 연내 착공 본격화

배포일자 : 2023. 05. 10.
                                                                                      [ 요약내용 ] : 전체내용 보기_보도자료 (molit.go.kr)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정부 출범 1주년 계기로 국정과제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GTX-C)의 추진현황 점검을 나선다. 원 장관은 5월 10일 오후 2시 GTX-C 지상·지하화 논란으로 사회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창동역을 찾아 주민간담회를 개최하여, 주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창동역 구간 지하화 결정을 설명할 예정이다.

GTX-C 창동역 구간은 예비타당성조사(‘18년),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20년) 등 기존 계획과 달리, 사업 발주 이후 지상화로 추진되면서 작년 1월 도봉구 주민들이 공익감사를 청구하였다. 국토교통부는 감사원 감사 결과, KDI 민자적격성 결과 등을 바탕으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창동역 구간을 지하화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주민들은 GTX-C 운행에 따른 소음·진동 피해 문제로 지상화를 지속 반대해왔으나, 지하화 결정으로 주민 우려는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 장관은 “윤석열 정부 들어 본격적인 논의와 대통령의 결심으로 창동역 지하화를 결정하였다”라고 밝혔다. 또한, “GTX-C가 개통되면 현재 창동역에서 삼성역까지 50분 이상 걸리는 시간이 14분까지 대폭 단축”된다면서, “GTX-C 연내 착공 등 속도감 있는 추진을 통해 수도권 30분 출퇴근 시대라는 국민께 드린 약속을 반드시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정책정보(=국토교통부)로 보는 시장흐름

1. 정책 브리핑 주요내용 : 2023년 2월호

배포일자 : 2023. 02. 28.
□ 이슈&칼럼 : 간선도로 기능 제고를 위한 도로부문의 향후 투자방향
1) 국가 간선도로망을 지속 확충하여 1970년 대비 2019년 기준으로 지역간 이동시간 45% 개선 성과달성
2) 도시부 혼잡으로 인한 간선도로 기능악화 심화 중
3) 향후 도로부문의 투자방향 : 지정국도와 지선국도 사업을 향후 도로건설 투자정책 수립 시 적극 발굴필요
4) 투자량에 비해 효율성(=올바른 일을 하는 것)을 극대화하는 데에 지정국도와 지정간선이 유용도구가 됨

□ 해외정책동향

1) 스웨덴의 수도권 지하도록 : 스톡홀름 바이패스
-.경제성 분석을 넘어서 비계량 영향요인을 대안으로 선정하여 결정된 성공사례
-.터널의 안전 확보를 위한 방재계획 : 24시간 모니터링, 자기대피, 환기시설, 고용량 배수시스템, 고정소방시스템
-.시사점 : 지하도로의 편익 산정을 넘어 지상공간활용성, 거주환경개선 등의 계량화되지 않는 요인들을 사업결정에 반영 필요
2) 지하도로가 가져올 미래 : 호주 WestConnex 사례를 중심으로
-.지하도록 개념 및 필요성
-.호주웨트커넥스 프로젝트의 부문별 효과 및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
-.국내 지하도로 개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 기타 내용

1) 기획 시리즈 : 도로 이동성 성과지표
2) 간추린 소식 : 국토부-서울시-한국도로공사, 경부지하고속도록 선설/연계 교통망 구축 협약 체결
3) 용어해설 : 지정국도 & 지선국도

 

2. 정책 브리핑 주요내용 : 2023년 1월호

배포일자 : 2023. 01. 31.
□ 이슈&칼럼 : 도로의 르네상스를 꿈꾸며
1) 2023년 도로국 업무계획
-.정책비전 : 디지털 융복합 미래형 도로
-.정책방향 :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서 도로의 역할 강화
2) 다양한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리티 혁신도로
4) 차량 번호판 영상 인식을 통한 무정차 통행료 납부
5) 디지털 국가도로망 종합계획 수립∙시행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도로시설을 디지털로 전환해야 하는 깊이와 폭이 달라질 것
-.실물을 가상 세계에 3차원 모델로 구현하고,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
6) 도심 교통정체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지하 고속도록
-.경부, 경인,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의 정체 문제 : 수평적 도로 확장이 불가능→지하 고속도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지하화로 인한 심리적 부담과 폐쇄감을 해소할 다양한 방안 마련 필요

□ 해외정책동향
1) 국가 차원의 도로 정보 관리 및 활용
-.도로 건설 대비 유지관리에 대한 투자비율 증가에 대한 미국의 HPMS 사례(=본보기 사례)를 소개한 내용
-.HPMS : Highway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2) 일본의 인프라 분야 디지털 전환(DX,Digital Transformation) : 아날로그→디지털화

□ 기타 내용
1) 기획 시리즈 : 도로정책 성과지표(=도로정책 성과지표 개요)
2) 간추린 소식 : 위험도로∙병목지점 개선 7단계 기본계획(2023~2027) 확정
3) 용어해설 : 메타버스(Metaverse)

 

3. 정책 실명제>중점관리대상사업 : 2022년 대상사업

대상사업 : 2022년
                                                                     [ 정책명 ] : 전체내용 보기_중점관리 대상사업 - 2022년 대상사업 (molit.go.kr)
□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

□ 미래형 국토도시공간 실현을 위한 도시계획 체계 개편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 임대료 걱정없는 양질의 공공임대주택 50만호 공급
□ 전국도로 대상 디지털 도로대장 추진
□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
□ 대구권 광역철도 1단계
□ 대덕특구 동측 진입로 도로개설사업
□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 동면-진천 도로건설공사
□ 부산대교-동삼혁신도시간 도로개설사업
□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연장
□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
□ 세종-구리(안성-구리, 세종-안성) 고속도로
□ 신안-생비량 국도건설공사
□ 안심-하양 복선전철
□ 압해-화원 국도건설 사업
□ 울산농소-경주 외동 국도건설공사
□ 평택-오송2복선화 건설사업
□ 포천-화도 고속도록 민간투자사업
□ 벽지노선 지원사업

 

◈ 숫자로 보는 시장흐름

1. 거시경제 : 경제성장률, 1인당 국민 총소득, 환율, 물가, 실업률

1.1 경제성장률(실질 GDP) : -0.4%(2022년 4분기 기준)

1.2 1인당 국민 총소득(1인당 GNI) : 35,373.1 미국달러(2021년 기준)

1.3 환율(원/미국달러, 종가) : 1,320.00원(2023. 05. 10.), 전일대비 -6.50원

1.4 물가

-. 소비자 물가지수(2020년=100) : 110.11(2023. 01.), 전월 대비 +0.8%

-. 생산자 물가지수(2020년=100) : 108.91(2022. 12.), 전월 대비 -0.3%

1.5 실업률 : 3.6%(2023. 01.), 전월 대비 +0.6%

 

2. 인구 및 산업 부문 : 총인구, 경제활동 인구, 사업체 수, 종사자 수

2.1 총인구

-. 추계인구 : 51,558,034명(2023년 기준)

-. 주민등록인구 : 51,430,018명(2023년 01월 기준, 2022년 12월 대비 9,020명 감소)

-. 고령인구 비율(65세 이상) : 18.4%(2023년 기준, 전기 대비 +0.9%)

2.2 경제활동인구 : 28,673.9천명(2023. 01.), 전월 대비 287,000명 감소

2.3 사업체 수 : 1,865,536개(2020년 기준)

2.4 종사자 수 : 17,181,055명(2020년 기준)

 

3. 가계수지(가구당 월평균 수지, 도시 2인 이상 명목 기준) 부문 :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가계소득, 가계지출, 가계자산

3.1 가구원 수 : 2.98명(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0.01명 감소)

3.2 가구주 연령 : 52.56세(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0.2세 증가)

3.3 가계 소득 : 5,954,353원(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11,390원 감소)

3.4 가계 지출 : 4,605,015원(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283,422원 증가)

3.5 가계 자산 : 54,772만원(2022년 기준, 전년도 대비 4,519만원 증가)

3.6 가계 부채 : 9,170만원(2022년 기준, 전년도 대비 369만원 감소)

3.7 가계 순자산 : 45,602만원(2022년 기준, 전년도 대비 4,150만원 증가)

 

4. 금융 및 금리 부문 : 종합주가지수, 기준금리, 1금융권 금리

4.1 기준금리

-. 한국 : 3.50%(2023. 02. 15.)

-. 미국 : 4.75%(2023. 02.)

4.2 은행예금 금리(예금은행 수신금리) : 4.22%(2022년 12월 기준)

4.3 일반대출 금리(예금은행 대출금리) : 5.56%(2022년 12월 기준)

4.4 종합주가지수

-. 코스피 : 2,496.51(2023. 05. 10. 전일대비 -0.54%)

-. 코스닥 :    829.74(2023. 05. 10. 전일대비 -0.73%)

 

5. 주택 및 토지 부문 : 거래현황, 인허가 및 착공현황

5.1 주택 및 토지 거래현황 증감률

-. 아파트 거래 증감률 : -49.23%(2022년 기준)

-. 주택 거래 증감률 : -46.76%(2022년 기준)

-. 순수토지 거래 증감률 : -28.92%(2022년 기준)

5.2 건축허가 증감률(전년대비) : + 3.6%(2022년 기준)

5.3 착공신고 증감률(전년대비) : -18.7%(2022년 기준)

5.4 준공         증감률(전년대비) : -11.2%(2022년 기준)

 

◈ 오늘의 특징주

상한가 달성 종목                                                               해당일자 : 2023. 05. 10. 종가 기준
(코스피)
  1. 화천기계 : 상한
  2. SJM : 상한
  3. SJM홀딩스 : 상한

(코스닥)

  1. 크리스탈신소재 : 상한
  2. 코스메카코리아 : 상한
  3. 잉글우드랩 : 상한
  4. 네오오토 : 상한
  5. 나노브릭 : 2연상, 상한
  6. 오가닉코스메틱 : 상한

 

거래량 폭증 종목                                                  해당일자 : 2023. 05. 10. 종가 기준
(코스피)
  1. 평화산업 : 상한
  2. 화천기계 : 2회, 상승
  3. 이아이디 : 21회, 미국 네바다 주에 리듐 광산사업 추진, 하한
  4. 한국Ankor유전 : 21회, 하락
  5. 큐로 : 2회, 하락
  6. 체시스 : 상한근접
  7. 퍼스텍 : 상승
  8. 유니온머터리얼 : 12회, 소폭상승
  9. SJM홀딩스 : 큰폭상승
10. 삼성전자 : 2회, 보합하락
11. SJM : 하락
12. YG PLUS : 큰폭상승
13. 애경케미칼 : 보합하락

(코스닥)

  1. 이트론(정보기기) : 23회, 가상화 VDI 솔루션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록, 하한근접
  2. 오가틱코스메틱 : 2최, 상승
  3. 크리스탈신소재 : 2회, 2연상, 상한
  4. 인성정보 : 상승
  5. 실리콘투 : 3회, 소폭하락
  6. 현대무벡스 : 4회, 상승
  7. 모비스 : 상한
  8. 디젠스 : 큰폭상승
  9. 이스트아시아홀딩스 : 2회, 소폭상승
10. 네오오토 : 큰폭상승
11. 아진산업 : 2회, 상승
12. KB메탈 : 상승
13. 성우하이텍 : 2회, 상승
14. 제일바이오 : 큰폭상승
15. 잉글우드랩 : 상승
16. 나노브릭 : 2회, 하락
17. CBI : 2회, 큰폭하락
18. 비츠로테크 : 상한근접
19. 메디콕스 : 상승
20. MDS테크 : 상승
21. 이브이첨단소재 : 2회, 큰폭하락
22. 슈어소프트테크 : 3회, 하락
23. 코스나인 : 2회, 큰폭하락

 

◈ 맺음말

이상과 같이 05월 11일자 투자공부자료를 정리했으며, 다음은 5월 12일자를 정리하여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05. 12...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