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욕실내부 리모델링 (1편) 공사범위, [생활 터전 짓기 027. 단독주택 리모델링]

반응형

 

◈ 욕실내부공사의 범위

1. 욕실외부전경

1) 욕실 다락방(화면의 ①번) : 기존에 다락방으로 사용되었던 공간입니다. 실제로 방으로 사용되었는지 저장공간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몰라도 제가 어릴적에는 저런 다락방에서 생활을 했었는데 감회가 새롭습니다...^^

-. 미닫이문제거 : 철거공사 범위에 포함

-. 바닥면(=욕실천장, 재질 : 철근-콘크리트) 제거 : 철거공사 범위에 포함

 

2) 욕실 출입문(화면의 ②번)

-. 출입문 철거 : 철거공사 범위에 포함

-. 출입문 교체 : 문틀설치 공사에 포함

-. 문짝설치높이 변경(다락방 바닥면의 철거→욕실천장의 높이 변경) : 문짝설치공사에 포함

 

3) 욕실 전기 공급(화면의 ③번) : 주택의 최초건설공사에서는 욕실내부에 별도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없었네요(비데나 헤어드라이어 사용이 불편해보입니다.)

-. 기존 전기 리드케이블 제거

-. 욕실 내부에 매립형 콘센트 설치

 

2. 욕실내부 전경(철거 전)

 

1) 욕실높이(화면의 ①번) 변경 : h1.7m(성인이 그냥 서있기에도 불편했습니다...^^;;)→h2.4m이상

2) 욕조바닥(? 화면의 ②번, 정확한 용도를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철거

3) 내부 콘센트 설치(화면의 ③번)

4) 욕실용품 교체 : 변기, 세면대 설치 및 수전교체, 거울 및 욕실 상부장 설치, 전등교체( 측부 노출형→상부 매립형), 욕실 선반대(=젠다이)

 

3. 욕실내부 전경(철거 후)

1) 욕실벽면(화면의 ①번) 타일공사 : 덧방(=기존 타일이 있던 부분) + 떠붙임(=기존 타일이 없던 부분)의 혼합방식

2) 욕실바닥(화면의 ②번) 타일공사 : 덧방(기존 바닥면에 급한 경사도를 완만한 경사도로 변경작업 포함)

3) 욕실창틀(화면의 ③번) 축소작업 및 환풍기 설치

 

◈ 공사수행 계획

1. 자체수행 작업범위

1) 기존 욕실용품 철거작업

2) 욕조 바닥면 철거작업

3) 전기공사 : 매립형 콘선트 설치 및 케이블 연결공사

4) 환풍기 설치공사

 

2. 외주의뢰 작업범위

1) 타일공사 : 바닥 및 벽면

2) 욕실용품 설치작업

3) 욕실천장 설치작업

 

3. 업체선정 및 욕실용품 구입방법

1) 업체선정 : 웹서핑을 통해 인근에 소재하는 업체로 선정(타일 판매 전문점)

2) 욕실용품

-. 용품구입 : 웹서핑

-. 배송 : 개인차량을 이용하여 직접수령(경기도 소재→부산으로 직접이동)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욕실내부공사에 대한 작업범위 결정과정을 소개했습니다.

욕실내부는 거실에 못지않은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서, 제가 매우 심혈을 기울인 공사였습니다. 외부업체에 전부 맡기기엔 욕실용품의 품질이 낮아질 것이 확실했고 한샘과 같은 대기업에 의뢰하기에는 기존 욕실의 상태가 추가비용을 크게 요구하게 되어 있어서 비용이 폭증할 것이 확실해 보였기 때문입니다.

결국 자체수행과 전문가 섭외를 병행하기로 했습니다만, 공사를 수행하다보니 욕실이 공간이 좀 협소하다는 것뿐이지 주택 내부공사에 들어가는 모든 공종이 혼합되어 있는 복합공사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 게시글은 2층 욕실내부공사 준비작업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과정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6. 13....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