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주택 도배공사 실크벽지 시공과정, [생활 터전 짓기 068.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도배공사 (2편)]

반응형

 

◈ 주택 2층 도배공사의 작업범위 및 규모

1. 작업범위 : 거실·현관·큰방·작은방1·작은방2·부엌(일부면 제외)의 천정과 벽면

 

2. 작업규모 : 총 199.36㎡(=약 60.4평)

2.1 천정면의 작업면적 : 약 53.57㎡

1) 거실 : 15.84㎡(3.3m x 4.8m)

2) 부엌 : 8.84㎡(2.4m x 3.6m)

3) 큰방 : 12.71㎡(4.1m x 3.1m)

4) 작은방1 : 8.68㎡(2.8m x 3.1m)

5) 작은방2 : 5.88㎡(2.1m x 2.8m)

6) 현관 : 1.82㎡(1.4m x 1.3m)

 

2.2 벽 면의 작업면적 : 약 145.79㎡

1) 거실(부엌 포함) : 45.84㎡(가로 19.1m x 높이 2.4m)

2) 큰방 : 40.32㎡(가로 14.4m x 높이 2.8m)

3) 작은방1 : 23.52㎡(가로 9.8m x 높이 2.4m)

4) 작은방2 : 31.86㎡(가로 11.8m x 높이 2.7m)

5) 현관 : 4.25㎡(가로 1.7m x 높이 2.5m)

 

◈ 작업 대상의 상태

1. 작업 대상의 벽체와 천정 면은 모두 합판으로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2. 그런데다 큰방과 작은방1 그리고 작은방2의 벽면은 이보드(=도배용 이보드)로 마감되어 있어서 그 이질감은 훨씬 크게 느껴질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그런데다 이보드를 경험하지 못하시거나 뭔지 모르는 도배 기술자분들도 계시기도 했습니다.

3. 도배방식은 실크벽지를 선정하고 부직포에 의한 초배작업을 선행하고 도배작업을 하기로 했습니다.

 

◈ 주택 2층 도배공사 시공과정

1. 초배작업 : 사전 현장 미팅을 통해 콘센트와 스위치류 그리고 몰딩은 사전에 부착을 완료하면서 준비작업을 완료했습니다.

 

2. 도배작업 : 방을 먼저 시공하고 거실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3. 도배작업 : 이어서 부엌과 현관까지 진행하여 틈새까지 꼼꼼하게 마감하며 전체 공사를 마루리 합니다.

 

◈ 주택 2층 도배공사 투입량

1. 인력투입

1) 기술자 : 4MD(2인 X 2.0일)

2) 자체수행 : 0MD(청소작업)

3) 총 소요기간 : 2일

2. 자재 투입량 : 없음(턴키작업으로 의뢰_시공사에서 제공)

 

◈ 공사 계획 대비 수행 결과 비교

1. 공사비

1) 예산수립 당초 : 168만원

2) 실제집행 : 150만원

 

2. 업체선정

1) 업체섭외 : 인터넷 연계 플랫폼 이용(4개 복수견적 수신)

2) 기타 참고사항 : 최저가를 제시한 업체보다는 현장방문 미팅을 통해 기술적 신뢰가 높은 업체로 선정함(견적금액은 최고가 제시업체를 제외한 3개 업체의 중간 금액을 제시한 업체로 선정)

3) 벽면과 천정이 석고보드가 아닌 합판과 이보드로 공사되어 있다는 단점과 내부에 살림살이가 전혀 없다는 작업의 장점이 있었음

 

3. 공사기간 : 총 2일이 소요

1) 초배작업 : 1일

2) 도배작업 : 1일

 

◈ 공사비용 집계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도배공사에 대한 소요비용을 소개했습니다.

 

해당 공사는 업체선정 방식의 변경을 처음 시도했던 공사로서, 인터넷 연계 플랫폼을 통해 섭외된 업체에 대한 선입견을 완전 해소하고 기존의 기술자분들에 대한 불신(?...^^;;)도 함께 해소하게 된 좋은 사례였습니다. 공사품질도 만족했고 기술자 섭외에 투입되던 노력도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지게 했던 좋은 경험이었습니다.(덕분에 이후에 업체선정은 거의 인터넷 연계 플랫폼을 계속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이상으로 2층 도배공사는 마무리하고 다음은 2층 조명공사에 대한 시공과정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과정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8. 11....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