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 2층 도배공사의 작업범위 및 규모
1. 도배공사의 작업범위는 거실·현관·큰방·작은방1·작은방2·부엌에 대한 천정과 벽면 부분에 대한 시공입니다.
2. 도배공사 천정면의 작업규모 : 총 53.57㎡의 면적
1) 거실 : 15.84㎡(3.3m x 4.8m)
2) 부엌 : 8.84㎡(2.4m x 3.6m)
3) 큰방 : 12.71㎡(4.1m x 3.1m)
4) 작은방1 : 8.68㎡(2.8m x 3.1m)
5) 작은방2 : 5.88㎡(2.1m x 2.8m)
6) 현관 : 1.82㎡(1.4m x 1.3m)
3. 도배공사 벽면의 작업규모 : 145.79㎡
1) 거실(부엌 포함) : 45.84㎡(가로 19.1m x 높이 2.4m)
2) 큰방 : 40.32㎡(가로 14.4m x 높이 2.8m)
3) 작은방1 : 23.52㎡(가로 9.8m x 높이 2.4m)
4) 작은방2 : 31.86㎡(가로 11.8m x 높이 2.7m)
5) 현관 : 4.25㎡(가로 2.7m x 높이 2.5m)
◈ 도배 작업을 위한 작업대상의 상태
1. 화면의 ①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작업대상의 벽체면이 합판으로 작업되어 있으며, 벽체면 뿐만 아니라 천정면(=화면의 ②번)도 마찬가지로 합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2. 대부분의 주택 내부가 콘크리트·조적·목조·경량철골로 공사가 되었더라도 도배공사 직전의 상태는 석고보드라는 일반적인 상식이 있기 때문에 이번과 같은 경우는 다소 이질적인 것이 상태인 것이 사실입니다.
3. 그런데다 화면의 ③번 부위(=큰방과 작은방1, 작은방2의 벽면)는 이보드(=도배용 이보드로 설치되어 있습니다.)로 마감되어 있어서 그 이질감은 훨씬 크게 느껴질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그런데다 이보드를 경험하지 못하시거나 뭔지 모르는 도배 기술자분들도 계시기도 했습니다.
4. 나름대로 특수한 환경이다 보니 도배에 대한 정보수집과 주변 인맥을 통한 경험을 빌리는 활동을 하게 되었고, 지나고 난 지금은 아주 성공사례의 공종으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화면의 ④번은 스위치나 콘센트가 부착되어야 할 자리인데, 도배 기술자분과 현장 미팅을 할 때에는 스위치와 콘센트를 부착했었습니다.(촬영 이미지가 없네요...^^)
◈ 도배방식의 결정
1. 사실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할 때에 주택 내부 벽면은 타일·넥스트N보드·려응보드 등으로 최종 마감을 하려고 많은 검토를 했었습니다. 먼 지역에 있는 설치된 매장까지 방문하는 수고로움을 발휘하면서 열성(?)적으로 검토를 했었습니다.
2. 도배지를 아무리 튼튼한 실크벽지로 사용해도 10년 후에는 재시공을 하게 될 테니, 적지 않은 고민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 설치된 현장에서의 느낌(=미관성보다는 가정집과는 다소 어우러짐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당 주택에는 부적격하다는 판단에 전통적인 마감재인 도배공사로 결정하게 되었습니다.(=물론 자문을 해주시던 선배님의 권장사항도 도배였습니다.)
3. 도배지의 선정 : 실크 Vs. 합지 벽지
1) 실크벽지
-. 종이 위에 PVC로 코팅한 벽지이며 강도가 있는 PVC를 유연하게 하기 위해 가소제를 사용하는데, 그 가소제로 인해 인체에 유해성이 있다고 합니다.
-. 또한 화재 발생 시에 유해가스가 나오게 되어 법(=실내공기질관리법과 다중이용업소관리법)으로 사용을 일부 제한하기도 합니다.
-. 합지에 비해 내구성이 좋고 약간의 이물질을 닦아 낼 수 있으며, 벽지를 맞대어서 부착하기 때문에 최종 마감 품질이 우수합니다.
2) 합지벽지
-. 합지벽지는 유해성 논란이 없고 화재 발생 시에도 유해가스가 없으므로 법(=소방안전관리법)으로 방염대상물품에서 면제되어 있습니다.
-.습기에 취약하고 이물질이 묻으면 실크벽지에 비해 닦아내기가 어렵고, 벽지를 겹쳐서 부착하기 때문에 최종 마감 품질이 다소 떨어집니다.
-. 실크벽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셀프시공에 적합합니다.
3) 당 주택의 도배공사에는 유해성에 다소 부담은 있으나, 관리가 다소 편리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특히 마감 품질이 우수한 실크벽지로 결정을 했습니다.
4. 초배지 시공의 판단
1) 당 주택의 천정과 벽체로 되어 있고 또한 각 방의 벽면은 이보드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초배지 시공은 마감 품질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절차라고 판단했습니다.
2) 또한 실크벽지는 초배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마감 품질이 훨씬 깔끔하게 될 수 있는데, 특히 실크벽지가 벽에 붙어 있기보다는 매달려 있다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3) 당 주택의 도배공사는 부직포(=합판이라는 특성 때문에 종이보다는 조금 더 내구성이 있는 부직포로 결정했습니다.) 초배지를 시공하고 도배작업을 하는 걸로 결정했습니다.
◈ 전문업체의 선정
1. 전문업체 의뢰 Vs. 셀프시공
1) 도배공사는 주택 내부의 마지막 마감이므로, 육안으로 가장 빈번하게 노출되는 부분입니다. 지금까지의 주택 리모델링 공사의 결과를 최종적으로 꾸며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중요한 공사라 할 수 있겠습니다.
2) 특히 합지벽지와는 달리 실크벽지는 초배지를 부착하고 시공해야 하는 다소 까다로운 시공기술이 필요하므로 셀프시공보다는 전문업체에 의뢰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3) 과거에 초배지를 바르고 실크벽지를 이용하여 셀프로 시공을 해본 경험은 있으나, 접합부의 꼼꼼하지 못한 일처리로 인해 당시에는 문제가 없는 도배작업이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아서 도배지 접합부에서 탈락되어 보기 흉했던 사례가 있었습니다.
4) 그 때는 벽면만을 셀프로 시공했었고 천정면은 일부 욕실 천정에만 시도를 했는데도 결과는 최악(?...ㅋㅋㅋ)이었습니다. 다른 공종은 몰라도 도배공사는 전문업체에 의뢰를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2. 시공 업체선정 방법
1) 도배공사를 시행할 즈음에는 인근지역의 지리적 상황이나 그 동안 공사를 통해 알게된 기술자분들에 의해 도배업체를 섭외하는데는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또한 도배작업은 기본적인 공사정보만 제공해도 견적을 산출하는데 오차가 거의 없는 공사 중에 하나입니다.
2) 그렇지만 이번에는 그 동안 해왔던 업체섭외 방식을 바꿔봤습니다. 사실 그 당시(=2019년 경)에 기술자를 연계해주는 인터넷 플래폼(=‘숨은고수’ 사이트가 대표적이죠.)이 있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워낙 시장 초기라서 그런지 몇 개의 부정적인 댓글에도 활용을 망설이게 되더군요.
3) 하지만 가장 보편적인 공사라는 점을 감안하고 ‘숨은고수’ 사이트를 통해 4개의 견적을 받아봤습니다.(=ㅎㅎ 절대 사이트를 홍보하는 거 아닙니다...^^;;) 공사비용은 다소 차이가 났지만 확실히 경쟁력이 있는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이런 플랫폼은 개인이 공개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는 원리와 동일한 방법이므로 활용을 적극 추천(결과부터 말씀드리자면 대단한 성공사례였습니다...공사품질과 비용 만족도 최고입니다...^^)드립니다.
4) 플랫폼을 이용하여 섭외된 업체가 공사 하자를 낸다는 댓글에 예민한 반응을 하긴 했으나, 주변사람을 통해 공사를 잘한다고 입소문이 난 업체도 공사 하자를 내는 것을 목격하고는 좀 더 과감하게 결정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주택 2층 도배공사에 대한 작업구상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주택 2층 도배공사의 시공과정 편을 준비하여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8. 09....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도배공사 실크벽지 시공과정, [생활 터전 짓기 068.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도배공사 (2편)] (0) | 2022.08.11 |
---|---|
주택 도배공사 실크벽지 시공과정, [생활 터전 짓기 068.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도배공사 (2편)] (0) | 2022.08.10 |
주택 전기공사 셀프시공 소요비용 , [생활 터전 짓기 066.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전기공사 (4편)] (0) | 2022.08.08 |
주택 전기공사 셀프시공 시공과정 , [생활 터전 짓기 065.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전기공사 (3편)] (0) | 2022.08.05 |
주택 전기공사 셀프시공하기_필수 전기 이론 , [생활 터전 짓기 064.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전기공사 (2편)]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