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노후 상가 건물 셀프 인테리어 공사_단열공사 시공과정, [생활 터전 짓기 094. 단독주택 리모델링 1층 단열공사 1편]

반응형

 

◈ 상가 1층의 내부단열공사 개요

1. 작업범위

1) 상가 1층의 내부 단열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점선으로 구획된 구간에 대한 공사입니다.

2) 상가 1층은 매장(=화면의 ①번)과 사무실(=화면의 ②), 휴게실(=화면의 ③번), 다목적실(=화면의 ④번)이고 각각 2개소로 건축되어 있습니다.

3) 각 2개소의 벽면은 동일한 구조와 크기로 건축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4) 호실은 위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101호이고 우측은 102호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2. 내부 단열공사 작업규모 : 179.42㎡(=1개소 당 89.71㎡)

1) 매 장 #1, #2 : 59.18㎡, (3.80m x 3.50m x 높이 2.6m, 29.59㎡) x 2개소

2) 사 무 실 #1, #2 : 46.35㎡, (2.75m x 3.50m x 높이 2.3m, 23.17㎡) x 2개소

3) 휴 게 실 #1, #2 : 43.52㎡, (2.20m x 3.50m x 높이 2.3m, 21.76㎡) x 2개소

4) 다목적실 #1, #2 : 30.38㎡, (1.35m x 2.29m x 높이 2.3m. 15.19㎡) x 2개소

 

◈ 내부 단열공사의 계획

1. 2층 건물(=1층 상가+2층 주택)의 외벽은 드라이비트 시공에 의한 외단열을 완료한 상태이므로 내부 는 이보드(=페인트용) 13t 정도로 얇게 단열공사를 시공할 계획입니다.

2.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매장과 다목적실은 기존(=인테리어 이전)에 콘크리트(=시멘트) 면에 페인트칠로 마감처리되어 있었으므로 우레탄 폼본드를 이용하여 이보드를 부착할 계획입니다.

3. 사무실과 휴게실은 기존에 벽지로 마감되어 있어서 벽지를 제거하고 우레탄 폼본드를 이용하여 이보드를 부착할 계획입니다.

4. 참고로 사무실 벽면은 곰팡이를 완전하게 제거(=이전 게시글에서 포스팅 하였습니다.)하고 우레탄 폼본드를 이용하여 이보드를 부착할 계획입니다.

 

◈ 내부 단열공사에 투입되는 원부자재 및 공구

1. 이보드 : 단열재

1) 이보드(=규격 900mm x 2400mm x 13mm)는 스티로폼(=압축발포형)과 폴리프로피렌을 부착하고 폴리프로피렌 표면에 부직포를 얇게 붙인 단열재입니다. 이보드의 두께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단열정도에 따라 두께를 선정하면 됩니다.(=당연하겠지만, 이보드의 두께만큼 실내 공간이 좁아진다는 것을 염두하시길 바랍니다.)

2) 벽면 마감용도에 도배용(=일반용)과 페인트용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보드에 벽지로 도배를 하고 마무리할 것인지, 페인트 칠로 최종 마감할 지에 따라 선정하시면 됩니다. 페인트용이 도배용에 비해서 부직포가 다소 촘촘하게 부착되어 있습니다.

3) 이보드는 시공이 간편하고 한번의 시공으로 단열과 벽체마감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벽면 강도를 견디도록 되어있는데, 가구 등을 옮기다가 모서리 면이 부딪히기라도 하면 곧바로 흉터가 생긴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2. 우레탄 폼본드와 크리너, 폼건 : 벽에 이보드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와 공구

1) 우레탄 폼본드로 부착을 하는데, 일부의 기술자들에 따라서 전용 본드인 G2본드를 사용하거나 폼본드와 G2본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저는 폼본드로 부착을 했고 공사 후에 1년이 훨씬 지금까지 하자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2) 우레탄 폼본드 시공은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 후에 반드시 크리너를 이용하여 폼건을 세척해두어야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전용 크리너를 이용하여 나름대로 열심히 세척을 한다고 했으나 폼건이 막혀서 버리고 다시 구매하는 경우가 잦았습니다.

3) 요즘은 크리너를 세척하지 않고도 폼건을 재사용하도록 개발된 폼건(=검색창에 ‘폼 크리너가 필요없는 폼건’이라고 검색해보시면 되는데, 적극 사용을 추천드립니다...^^)이 출시되어서 폼 크리너를 이용한 번거러운 폼건 세척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매우 편리합니다.

 

3. 퍼티와 조인트 테이프 : 도배 마감에서는 불필요하지만, 페인트 마감을 하실 계획이라면 이보드와 이보드 이음새를 없애주어야 합니다. 지난 게시글에서 실패사례로 포스팅했습니다만, 최종 마감작업이므로 대단히 중요한 작업입니다. 꼭 시공절차를 준수하여 작업하셔야 합니다.

 

◈ 내부 단열공사의 시공

1. 매장 #1(=101호), #2(=102호)의 시공

1) 101호의 벽면은 최근까지 사용을 해서 그런지 화면의 ①번과 같이 못이나 기타 여러 목적으로 인해 벽면이 많이 깨져있고 표면이 거칠어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결국 매장 벽면까지 이보드를 부착하기로 했습니다.

2) 102호는 101호 비해서 벽면이 나름대로 양호한 편(=화면의 ②번)이긴 했으나, 매장의 통일성을 위해서 이보드 시공을 하기로 했습니다.

 

3. 이보드 부착 시에 주의사항

1) 이보드를 폼본드를 이용하여 부착할 경우에는 이보드간의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폼 본드가 발포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벽면에 부착 시에 표면을 손바닥으로 두드려주는 과정을 행해야 합니다.

2) 이보드 접착면에 폼본드를 바르고 굳기 전에 벽에 부착을 해야 합니다. 폼본드가 굳어버리면 벽면에 부착되지 않아서 재작업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폼 본드를 바른 후에 약 30초에서 1분 30초 이내에 부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이보드 부착작업은 단열작업의 일종이므로 꼭 밀착 시공을 해야 합니다. 벽면에 밀착이 되지 않으면 벽면과 이보드 사이에서 결로가 발생하여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폼 본드는 아끼지 말고 손바닥으로 충분하게 두드려주는 작업이 필수입니다.

 

4. 이보드 간의 이음새 매우기 작업 방법

제조사 제공의 시공절차서 참고

1) 도배용 이보드의 이음새 매우기 작업은 해당 퍼티 제조사에서 제공한 시공절차를 준수하여야 합니다. 저는 해당 절차서를 확보하지 않고 시공을 강행하게 되어서 시공하자가 발생했습니다.(=지난 포스팅 참조)

2) 시공절차의 6단계와 7단계 과정을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상가 1층의 내부 벽면에 조인트테이프 표면이 살짝 돌출되어서 기능성이나 청결도에는 문제가 없어서 그대로 두고 있지만, 어느 정도 지난 후에는 해당 사항을 처리해야 하는 과제로 남게 되었습니다. 시공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상가 1층 내부 단열 공사에 대한 시공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내부 단열공사에 소요비용을 정리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9. 21.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