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구상, [생활 터전 짓기 125.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반응형

 

◈ 상가 1층의 후문 비막이 공사 작업범위

1. 상가 1층의 후문 비막이 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점선으로 구획된 구간에 대한 공사입니다.

2. 금번 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상가 1층 출입후문, 101호+102호)에 해당하는 출입문의 상단(=화면의 ②번)에 비가림막을 설치하는 작업입니다.

3. 당초에는 화면의 ③번과 같이 깔끔하게 디자인된 기성품을 설치하려고 했으나, 불가피한 이유로 인해 셀프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선회하게 되었습니다.

4. 호실은 위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101호이고 우측은 102호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 상가 1 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작업계획

1. 위의 화면은 상가 1층(=101호+102호)을 출입하기 위한 후문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좀 더 과거의 사진을 올렸습니다.

2. 보이는 바와 같이 비가 내리게 되면 빗물이 바닥에서 튀어올라 화면의 ①번을 통과하여 1층 다목적실로 들어가게 되어 바닥을 더욱 오염시키는 등의 이유로 다소 불쾌감을 유발하고 있었습니다.

3. 화면의 ②번의 위치에 가림 막을 설치하고자 하는데, 화면의 ③번에서 일부 간섭이 생기게 되어 기성품을 설치하는 것에 한계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4. 또한 외벽을 드라이비트 시공을 한 상태이므로 주재가 스티로폼(=화면의 ④번)이므로 가림막의 하중을 견디는 것이 어렵습니다. 다행히 화면의 ⑤번에 해당하는 부분이 시멘트 벽돌조로 되어 있어서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는데 활용이 가능합니다.

 

◈ 상가 1 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작업계획

1. 설계 및 도면작성

1) 다소 거창해보이지만 꼭 그렇지도 않으며, 또한 반드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원활한 시공과 정확한 물량 산출을 위해 필요합니다...^^)

2) 해당 작업은 폐기물 배출이 완료된 이후라서 구매한 자재가 남으면 폐기물 배출에 고충이 따르고 물량이 부족하면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운송비 부담을 가중하게 됩니다.

3) 저는 이면지에 스케치하듯 도면을 그리고 물량을 산출했습니다.

 

2. 자재확보

1) 위의 화면에서 객관적으로 보니, 작은 공사(?)처럼 보이네요...^^

2) 화면의 ①번은 각재이고 비막이의 구조(=뼈대)를 담당하게 될 것이며, 화면의 ②번은 5mm 두께의 합판으로 비막이의 면(=근육)이 되어 줄 것 입니다.(=쏘렌토에 실어야 했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운 합판을 선택할 수 없었습니다. 휘어서 실어면 쏘렌토에 상차 가능합니다...^^;;)

3) 렉사판(=화면의 ③번)은 비막이의 내부 마감재가 될 것이고, 슁글(=화면의 ④번)은 지붕 마감재가 될 것입니다.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슁글 방수재가 별도로 사용되었습니다.

4) 금번 공사에는 타카핀(=화면의 ⑤번)의 길이가 긴것이 필요하여 ST 65 타카핀을 구매했습니다.

 

3. 비막이 공사 설치작업에 필요한 공구

1) 사다리 : 비막이 공사의 작업 특성으로 인해서 높은 사다리가 필요합니다.

2) 에어타카 및 공기압축기 : 시멘트 벽면(=벽돌조)에 각재(=구조목 목적)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3) 전동드릴 : 각재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는데는 타카(목재용 DT 계통 타카핀)보다는 나사못이 훨씬 유리합니다.

4) 톱 : 각재를 자를 때 필요하며, 합판을 자를 경우에는 워낙 소량의 작업이므로 커터칼을 이용하여 잘라도 문제없습니다.

5) 측정공구 : 수평자, 줄자 등

 

4. 비막이 설치 작업시작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상가 1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작업구상에 대한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상가 1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설치작업 과정에 대한 경험를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11. 08.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