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가 1층의 후문 비막이 공사 작업범위
1. 상가 1층의 후문 비막이 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점선으로 구획된 구간에 대한 공사입니다.
2. 금번 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상가 1층 출입후문, 101호+102호)에 해당하는 출입문의 상단(=화면의 ②번)에 비가림막을 설치하는 작업입니다.
3. 당초에는 화면의 ③번과 같이 깔끔하게 디자인된 기성품을 설치하려고 했으나, 불가피한 이유로 인해 셀프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선회하게 되었습니다.
4. 호실은 위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101호이고 우측은 102호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 상가 1 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작업계획
1. 위의 화면은 상가 1층(=101호+102호)을 출입하기 위한 후문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좀 더 과거의 사진을 올렸습니다.
2. 보이는 바와 같이 비가 내리게 되면 빗물이 바닥에서 튀어올라 화면의 ①번을 통과하여 1층 다목적실로 들어가게 되어 바닥을 더욱 오염시키는 등의 이유로 다소 불쾌감을 유발하고 있었습니다.
3. 화면의 ②번의 위치에 가림 막을 설치하고자 하는데, 화면의 ③번에서 일부 간섭이 생기게 되어 기성품을 설치하는 것에 한계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4. 또한 외벽을 드라이비트 시공을 한 상태이므로 주재가 스티로폼(=화면의 ④번)이므로 가림막의 하중을 견디는 것이 어렵습니다. 다행히 화면의 ⑤번에 해당하는 부분이 시멘트 벽돌조로 되어 있어서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는데 활용이 가능합니다.
◈ 상가 1 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작업과정
1. 구조체(=각재, 다루끼) 설치하기
1) 화면의 ①번은 기존(=인테리어 이전)에 설치되어 있던 여닫이 문의 경계역할을 하던 35mm 아연각재입니다. 해당 위치가 2개의 문 사이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하게 될 가림막의 하중이 집중하는 곳입니다.(=물론 미관성에도 중요한 위치입니다.)
2) 해당 아연각재를 완전 제거하기 보다는 일부를 재활용하기 위해 화면의 ②번을 기준으로 상단 부분을 잘라 내기로 했습니다.
3) 경계선의 상단 부분(=화면의 ②번 윗부분)에 구조목을 설치할 계획이며 화면의 ③번과 같이 해당 위치에 구조목(=화면의 ④번)을 설치했으며, 드라이비트 외벽 단차(=스티로폼+수지 마감재 두께) 때문에 목재를 55mm두께로 선정했습니다.
4) 화면의 ⑤번에 해당하는 각재도 가림막의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단단하게 고정이 필요한데, 타카작업과 실리콘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고정해주었습니다.
2. 가림막 무게에 대한 고정력 확보하기
1) 3개의 기둥에 집중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 목재는 ST 65 타카핀으로 벽에 고정을 한 후에 우레탄 폼본드로 접착력을 더해준 후애 화면의 ①번과 같이 실리콘으로 삼중 접착력을 더해주었습니다.
2) 가림막의 무게로 인해 발생하는 편하중(=한쪽만 고정하는 구조체에 발생하는 하중)과 풍하중(=강풍에 의해 발생하는 다방향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화면의 ②번과 같이 부재를 설치하고 화면의 ③번과 같이 선반지지대를 설치했습니다.
3) 가림막의 뼈대를 형성했던 부분을 설치했지만 촬영 이미지가 없어서 안타깝습니다. 실제로는 화면의 ④번의 가려진 부분에 가림막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재를 설치해준 상태입니다.
3. 가림막 설치하기
1) 뼈대로 설치된 각재 위에 합판(=화면의 ①번)을 덮어주고 타카로 고정했고, 합판 위에는 화면의 ②번과 같이 슁글용 방수막을 함께 덮어주었습니다.
2) 가림막의 최종 마감재로 슁글(=화면의 ③번)을 덮어주었는데, 슁글은 마감재이므로 강풍으로 인해 탈락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슁글 전용못으로 고정해주어야 합니다.
3) 화면의 ④번은 측면 보호대로서 다시한번 지지력을 더해주는 기능도하고 미관성을 위한 마감의 목적을 하기도 합니다. 최종적으로 검정색 페인트 칠을 선택했습니다.
4. 비막이 공사 완료
1) 슁글이 지붕재이기 때문에 용마루가 필요한데, 당 공사는 가림막의 마감재로 사용되어서 용마루를 설치할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화면의 ①번과 같이 렉사판의 잔여부분(=폐기물)을 재활용하여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했습니다. 상단 끜부분을 실리콘으로 접착했습니다.
2) 화면의 ②번은 간섭이 생기는 부분이었으며, 가림막의 일부분을 잘라내고 설치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만일 가림막을 기성품으로 했다면 화면의 ②번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가림막의 폭을 좀 더 줄이게 될 것이고 그로인해서 비가림 효과는 더 줄어들게 되었을 겁니다.
3) 비막이용 가림막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이지만 화면의 ③번과 ④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페인트칠을 해주고 최종 마감한 상태입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상가 1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가림막 설치작업에 대한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상가 1층 후문 비막이 공사의 소요비용에 대한 경험를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11. 09.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원인, [생활 터전 짓기 128.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1 |
---|---|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127.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0 |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구상, [생활 터전 짓기 125.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08 |
PVC 문짝 교체 작업 및 설치비용, [생활 터전 짓기 124.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07 |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비용, [생활 터전 짓기 123.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