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가 1층의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작업범위
1. 상가 1층의 천정단열공사 재시공은 화면에서 보이는 점선으로 구획된 구간에 대한 공사입니다.
2. 금번 공사의 작업은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101와 102호 매장)의 천정면 구간이며, 해당 구간에서 바닥으로 물이 떨어지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3. 해당 구간은 노후 상가(=1층)의 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늦은 봄)되고 그 해 겨울철에 발생한 문제로 발생원인은 결로현상에 의한 낙수현상이라고 파악되었습니다.
4. 호실은 위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101호이고 우측은 102호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 상가 1층의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원인
1. 기존(=리모델링 이전) 102호 매장의 천정
1) 위의 화면은 리모델링 공사가 들어가기 전에 촬영한 이미지인데, 천정에 별다른 구조물을 만들지 않고 콘크리트 면에 수성 페인트(=화면의 ①번)칠 만으로 마감을 한 상태였으며, 화면의 ②번은 콘크리트 면에서 페인트 칠이 탈락한 것입니다.
2) 그 당시에는 이런 현상이 단지 세월의 흐름(=10여년 동안 공실상태 였습니다...^^;;)으로 인한 노후화라고 생각했습니다만, 겨울철에 결로현상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지금에서야 현실을 직시하게 된 것입니다.
3) 해당 부위(=1층 천정면)는 2층(=주택)의 바닥면이고 그 사이에는 온수배관(=엑셀 파이프)이 들어서 겨울철에 2층에서 보일러를 가동하게 되면 1층 천정면과 급격한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면서 결로가 생기게 된 것입니다.(=겨울철에 1층에서 온풍기를 가동하고 있었다면 확인할 수 없었던 현상입니다.)
4) 해당 결로현상으로 인해 겪어보지 못했던 많은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보게 되었는데,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어마무시한(?) 양의 물이 었습니다...^^;;
2. 공사 완료 후에 나타난 현상
1) 위의 화면은 겨울철에 천정면에서 결로에 의해 물이 바닥으로 떨어질 때 촬영을 해둔 이미지(=잘 보이지도 않고 현실감도 떨어지네요...^^;;)입니다.
2) 화면의 ①번과 ②번에서 살짝 보이는 얼룩인데, 101호 매장(=화면의 ①번)의 천정재는 기존 합판 위에 이보드 단열재를 부착하고 조인트테이프와 퍼티 작업 후에 백색 페인트칠로 마감을 한 상태이고 102호 매장(=화면의 ②번) 천정재는 별도로 합판을 부착하지 않고 렉사판으로 마감했습니다.
3) 해당 공사의 마감재들은 매우 밀집한 상태로 상호 결합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의 결로가 생겨도 천정에서 바닥으로 물이 떨어질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한 상황이었습니다.
4) 화면의 ③번인 몰딩(=MDF 재질)에 물이 스며들면서 휘어진 것입니다. 저 또한 촬영 당시에는 타카를 너무 느슨한 간격으로 작업을 했기에 저렇게 휜 것이라고 오해를 할 정도였습니다.(=해당 몰딩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정도라서 결국은 폐기물로 배출했습니다...^^;;)
◈ 상가 1층의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준비작업
1. 천정면 재작업을 위한 철거작업 시작
1) 위의 화면은 천정면에 부착되어 있던 몰딩과 렉사판(=PVC 천정재)입니다. 겨울철이 지나고 늦은 가을철에 본 공사를 시행 중이었음에도 렉사판 틈새로 많은 물이 고여있었고 철거과정에서 쏟아져 나올 정도 였습니다.
2) 화면의 ①번은 벽면 상단에 붙어 있던 몰딩이고, 화면의 ②번은 렉사판입니다. 철거 과정에서 다소 훼손이 되긴 했으나 모두 재사용하기에 무리는 없었습니다.
3) 화면의 ③번은 렉사판 고정에 사용되었던 타카핀이 녹이며 결로로 인해 녹쓰는 것이 가속화 된 것입니다. 화면의 ④번은 천정면에서 결로와 함께 떨어진 천정면 시멘트 가루입니다.
4) 화면의 ⑤번은 이지미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물이 흘러내린 흔적입니다. 인테리어 작업이 완료된지 겨우 1년 정도가 지났음에도 자재들의 상태는 10년은 지난 것 같습니다...^^;;
2. 구조보강
1) 해당 천정은 콘크리트로 시공되어 강도가 매우 높고 화면의 ①번에서 보이는 것처럼 평활도가 나빠서 ST 타카핀으로 구조목재를 부착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2) 화면의 ②번의 구조목재(=각재)는 지난 인테리어 과정에서 천정면에 어렵게 부착을 했으나, 금번 천정면 재시공 과정에서 탈락이 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구조작업의 보강이 불가피 했습니다.
3) 화면의 ②번 각재에 ST64 타카핀으로 고정을 시도했으나, 역시 콘크리트 면에 타카핀 작업은 실패했습니다.
4) 차선의 작업으로 천정체의 전체 하중을 분산해주기 위해 화면의 ③번과 같이 구조용 목재를 천정면에 부착했는데, 이부분에는 평활도가 양호해서 인지는 모르겠으나 무난하게 타카작업이 무난하게 이루어 졌습니다. 화면의 ④번과 같이 수직방향 구조목재를 부착하여 필요한 정도의 지지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2. 천정면 재시공 작업계획
1) 화면의 ①번은 타카작업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흔적입니다. 같은 콘크리트 면임에도 위치에 따라 타카작업의 성패가 달라집니다...^^;;
2) 화면의 ②번은 렉사판이 시작되는 부분이고 우레탄 폼본드로 부착되어 있어서 가급적이면 그대로 사용하려 했으나, 부득이하게 뜯고 다시 재시공하게 되었습니다.
3) 화면의 ③번은 천정면에 부착된 렉사판과 벽면에 부착된 이보드의 사이에 생긴 틈새를 우레탄 폼본드로 채워준 흔적입니다. 렉사판 재설치를 위해 깔끔하게 제거해야만 했습니다.
4) 화면의 ④번은 구조목 사이로 스티로폼을 밀어넣는 최선의 방법을 찾으려고 시험을 해본 것인데, 별다른 좋은 방법은 없더군요. 각재 사이로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만 스티로폼을 잘라서 밀어 넣기로 했습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상가 1층 천정면 단열재 재시공 작업에 대한 원인과 계획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상가 1층 천정면 단열재 재시공 공사의 시공과정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11. 11.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130.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5 |
---|---|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과정, [생활 터전 짓기 129.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4 |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127.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0 |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과정, [생활 터전 짓기 126.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09 |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구상, [생활 터전 짓기 125.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