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가 1층의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작업범위
1. 상가 1층의 천정단열공사 재시공은 화면에서 보이는 점선으로 구획된 구간에 대한 공사입니다.
2. 금번 공사의 작업은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101와 102호 매장)의 천정면 구간이며, 해당 구간에서 바닥으로 물이 떨어지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3. 해당 구간은 노후 상가(=1층)의 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늦은 봄)되고 그 해 겨울철에 발생한 문제로 발생원인은 결로현상에 의한 낙수현상이라고 파악되었습니다.
4. 호실은 위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101호이고 우측은 102호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 상가 1층의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원인 및 작업준비
1. 천정면 재시공 원인
1) 상가 1층 매장의 천정 면은 화면의 ①번과 같이 콘크리트 면이고 2층(=주택)에서 보일러를 가동할 때에 1층에서 별도의 온풍활동을 하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결로현상(=많은 양의 물이 바닥으로 떨어짐) 때문에 재시공이 필요합니다.
2) 화면의 ②번(=101호 매장 천정면)과 화면의 ③번(=102호 매장 천정면)이 인테리어 공사가 끝난 이후의 당해 겨울철에 물이 떨어지는 상태를 촬영한 것입니다.
3) 화면의 ④번(=MDF 소재의 몰딩)은 많은 양의 물이 흘러내리면서 몰딩이 휜 것입니다. 폐기물로 배출했습니다.
2. 천정면 재시공 작업준비
1) 위의 화면은 부착되어 있던 렉사판을 뜯어내고 구조용 목재에 대해 보강작업(=화면의 ①번)을 한 이후의 상태입니다.
2) 스티로폼의 최적 절단 사이즈로 효율적인 시공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일부 스티로폼의 부착과정을 시행해본 결과(=화면의 ②번)이기도 합니다.
◈ 상가 1층의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과정
1. 스티로폼(=단열재) 부착하기
1) 천정 단열재(=화면의 ①번, 스티로폼)는 구조용 목재(=각재)의 간섭을 피해서 천정면에 밀착하여 부착하는 것이 주요 목표가 됩니다.
2) 스티로폼의 크기가 커야 작업속도가 빠르기 때문인데, 화면의 ②번 처럼 각재와의 간격이 좁을 수록 스티로폼의 크기도 작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3) 특히 화면의 ③번 처럼 가로와 세로 사이즈가 작아질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많이 늦어지게 됩니다. 당연히 우레판 폼의 소요량도 급증하게 됩니다.
4) 다행히 화면의 ④번 구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서 스티로폼의 크기를 적정하게 하여 작업속도는 평범하게 진행되었습니다.(=만일 구조목재가 정방향이 아닐 경우에는 스티로폼의 형태를 조각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2. 스티로폼 틈새 매우기
1) 단열은 밀착과 밀봉이 핵심 과업입니다. 화면의 ①번과 같이 목재와 스티로폼 간의 들뜸이 없도록 해주어야 하고, 화면의 ②번과 같이 스티로폼과 스티로폼 사이에 빈틈도 과할 정도로 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스티로폼 간의 간격이 멀어질 수록 우레판 폼본드의 소요량이 증가하거나 심할 경우에는 폼본드가 바닥으로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에 틈새를 약 2cm 이내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화면의 ③번은 구조용 각재의 간섭발생으로 인해 스티로폼의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 스티로폼을 잘게 잘라서 밀어넣고 양측으로 폼본드를 분사한 흔적입니다. 이런 경우가 시간과 비용(통증까지 추가해서...^^;;)을 급증시킵니다.
4) 화면의 ④번 렉사판을 그대로 두고 작업량을 줄이려고 잔머리(?)를 굴렸다가, 오히려 렉사판 부착작업이 2배 이상 폭증했습니다. 그냥 떼어내고 처음부터 다시 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렉사판 부착하기
1) 화면의 ①번은 렉사판을 부착하는 과정인데 퍼즐처럼 한 장씩 끼워 맞춤을 해야 하는 과정이므로 첫장의 렉사판이 잘못 작업되면 처음부터 다시 부착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화면의 ②번은 렉사판과 렉사판의 이음대인데, 지난 공사에서는 몰딩으로 마감했으나 이번 재시공 과정에서는 정식 부속자재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3) 화면의 ③번은 조명이 설치될 부분이고, 재시공이므로 이번에는 렉사판에 홀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4) 화면의 ④번은 렉사판과 이보드가 만나는 구간인데, 역시 폼본드로 매우는 작업을 했습니다.
4. 마감작업
1) 화면의 ①번과 같이 렉사판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재시공 전에 비해서 평활도가 매우 우수해 보입니다...^^
2) 화면의 ②번은 렉사판 전용 이음대인데, 재시공 이전에 몰딩으로 마감한 것보다 훨씬 정돈되고 깔끔해 보입니다.
3) 화면의 ③번과 같이 조명도 다시 부착하고 점멸 테스트를 완료했습니다.
4) 화면의 ④번과 같이 벽면 이보드와 천정면 렉사판 사이에 몰딩을 부착하고 작업을 마치게 되었습니다.
◈ 상가 1층의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완료
1. 위의 화면은 천정 단열재 설치 재시공을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이후에 결로현상이 다시 나타날 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나, 다행하게도 결로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습니다.
3. 2층 바닥에서 보일러를 가동했다는 이유로 아래층에서 그렇게 많은 양의 물(=흡사 누수현상으로 오해할 정도였습니다...^^;;)이 떨어지는 경우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4. 리모델링 공사 과정에서 많이 경험했던 사실이지만, 주택의 모든 공사(=신축·증축·개축의 모든 공사포함)는 반드시 설계를 선행하고 설계 기준(=정석)에 부합하여 시공해야 합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상가 1층 천정 매장 단열 재시공에 대한 시공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상가 1층 천정 매장 단열 재시공에 대한 소요비용을 집계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11. 14.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공사 비용 집계, [생활 터전 짓기 131.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0) | 2022.11.16 |
---|---|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130.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5 |
천정 단열공사 재시공 원인, [생활 터전 짓기 128.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1 |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127.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10 |
비막이 공사 셀프시공 과정, [생활 터전 짓기 126. 노후 상가 건물 1층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배관공사] (0) | 2022.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