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화조 출구변경 작업의 작업범위
1) 본 공사는 상가주택 내(1층 화장실+2층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인분(세척수 포함)을 일시 저장한 후에 주기적(=1년에 1회 이상, 법적의무사항)으로 배출하는 정화조의 출구를 변경하는 공사(=절대 흔하지 않은 공사 같습니다...^^;;)입니다.
2) 기존(=공사전)에는 정화조 뚜껑이 화면의 ①번과 같이 102호 매장 내부에 설치되어 있었고, 이 곳을 통해 분뇨차량의 흡입호스로 인분을 배출했으나, 장마철에 악취발생과 혐오감 조성으로 인해 배출구를 외부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3) 정화조 뚜겅(=화면의 ②번)을 오픈하고 확인해보니, 마감된 콘크리트의 부식(=화면의 ③번)으로 인한 틈새발생과 악취방지용 물통(=화면의 ④번, 항시 물이 고여서 출구로 올라오는 냄새를 차단합니다.)의 노후화가 악취발생의 원인입니다.
4) 공사는 우레탄 방수작업이 완료(=화면의 ⑤번)된 바닥면 파쇄가 불가피하고 또한 바닥면 하부에 설치된 하수배관(=화면의 ⑥번)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서 작업해야 합니다.
2. 작업절차
1) 정화조 배출구 변경공사는 “정화조 형태 및 구조 점검→ 하수배관 위치확인→ 배출배관 설치경로 결정→ 정화조의 기능상태 점검→ 세척수 배출상태 시험준비→ 세척수 배출상태 시험실시→ 배출배관 매설완료→ 배출구 위치 기록∙보관”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2) 금회 게시글은 “정화조 형태 및 구조 점검→ 하수배관 위치확인→ 배출배관 설치경로 결정→ 정화조의 기능상태 점검”작업에 해당됩니다.
◈ 정화조 배출구 변경작업 과정(상편)
1. 정화조 형태 및 구조 점검
1) 위의 화면은 정화조 배출구의 형태를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2) 먼저 파쇄해머(=화면의 ①번,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정화조 출구의 측면 콘크리트를 파쇄합니다. 화면의 ②번은 신규로 교체할 악취 방지용 물통입니다.
3) 신규 악취방지 물통(=화면의 ②번)을 미리 설치하여 화면의 ③번과 같이 파쇄된 폐시멘트가 정화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합니다.
4) 변기를 통해 배출된 인분은 정화조 바닥면에 가라앉고 함께 배출된 세척수는 정화조 상단부 출구(=화면의 ④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입니다. 화면의 ⑤번은 신규로 교체할 정화조 뚜껑이고 미장 과정에서 시멘트 몰탈에 매립될 예정입니다.
2. 매장 하수배관 위치확인
1) 위의 화면은 매장의 하수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작업과정입니다. 화면의 ①번은 매장 바닥에 노출되어 있는 하수구의 위치입니다.
2) 하수관이 다치지 않도록 화면의 ①번 위치를 중심으로 조심스럽게 하수관 주변을 파쇄하면서 화면의 ②번과 같이 하수배관을 노출시켜 봅니다.
3) 화면의 ③번은 신규로 설치될 정화조 배출배관이며, 하수배관(=화면의 ②번) 아랫부분과 매장 출입문(=화면의 ④번)의 아랫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배출배관을 설치하기에 가장 짧은 경로입니다.
4) 분뇨차량에 설치된 분뇨용 청고압 호스의 내경이 65mm이므로 분뇨 흡입과정에 원활하게 호스가 진출∙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화면의 ③번(=정화조 배출구 배관) 호스의 직경은 150mm로 선정했습니다.
3. 배출배관의 설치경로 결정
1) 위의 화면은 배출배관이 설치될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2) 하수배관(=화면의 ①번)과 정화조 외부 벽면(=화면의 ②번)과의 간격이 협소하여 직경이 150mm인 청고압호스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3) 결국 배출배관은 최단경로에서 조금 늘어나긴 하지만 정화조 출구에서 시작하여 화면의 ③번 경로로 우회하여 설치하기로 합니다.
4) 작업 간에 흙이 하수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면의 ④번과 같이 배관입구를 잘 막아두어야 합니다. 너무나도 당연한 과정임에도 소홀히 했다가는 매우 큰 고통(=배관청소작업 추가)이 따르게 됩니다....^^
4. 정화조의 기능상태 점검
1) 매장 아랫부분에 매설되어 있는 정화조는 화면의 ①번을 통해 전반적인 크기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2) 정화조 윗부분의 형태는 위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지만, 화면의 ②번(=매설된 정화조의 윗부분)에서 보여지는 형태는 예상과는 달리 평편한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3) 화면의 ③번으로 세척수가 화면의 ④번의 경계면을 타고 월류하여 화면의 ⑤번으로 배출되는 구조이지만 정화조 상단면이 찌그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정화조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받았습니다.
4) 정화조 매립과정에 굴착깊이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 굴착과정에서 암반이 생기면서 더 깊이 굴착하지 못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정화조를 새로 설치하자는 설치업자의 제안이 있었으나, 대관업무나 공사규모의 폭증 등이 문제가 되어 계획했던 수준정도의 공사만을 수행합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정화조 배출구 변경에 대한 작업계획 및 과정(상편)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정화조 배출구 변경의 작업 과정(하편)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01. 02.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화조 배출구 변경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166. 상가 건물 공통부문 셀프 인테리어 공사] (2) | 2023.01.04 |
---|---|
정화조 배출구 변경공사 과정, [생활 터전 짓기 165. 상가 건물 공통부문 셀프 인테리어 공사] (0) | 2023.01.03 |
외부바닥 우레탄 방수작업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163. 상가 건물 공통부문 셀프 인테리어 공사] (0) | 2022.12.30 |
외부바닥 우레탄 방수작업 과정, [생활 터전 짓기 162. 상가 건물 공통부문 셀프 인테리어 공사] (0) | 2022.12.29 |
외부바닥 우레탄 방수작업 계획, [생활 터전 짓기 161. 상가 건물 공통부문 셀프 인테리어 공사]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