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국토교통부)로 보는 시장흐름
1. 자동차의 친환경성 평가기술 개발한다.
배포일자 : 2023. 05. 03. |
[ 요약내용 ] : 전체내용 보기_보도자료 (molit.go.kr) -국토교통부,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 -자동차 생애 전주기 온실가스 평가(LCA)를 포함한 친환경성 평가 방법 개발 ※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 R&D 사업 주요 내용 ➊ (A-LCA) 자동차의 생산부터 운행 및 운행 중에 소비하는 에너지, 폐차까지 자동차 생애 전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등급화 방법 개발 - 연구성과는 국내 이해관계자(자동차 제작사 등) 및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국내 자동차 LCA 협의체’, `22.9.~)의 논의를 거쳐 A-LCA 국제기준 반영하기 위해 적극 활용 ➋ (성능평가) 내연기관자동차 연료소비효율 및 친환경자동차의 에너지 소비효율, 1회 충전 후 주행거리 등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등급화 및 친환경자동차 평가 장비 개발 ➌ (실내공기질 평가) 자동차 실내 내장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해물질과 외부 유입 오염물질(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의 영향 평가·등급화 방법 및 평가 장비 개발 |
2. 한-인니 비즈니스 포럼
배포일자 : 2023. 05. 03. |
[ 요약내용 ] : 전체내용 보기_보도자료 (molit.go.kr)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5월 3일(수) 오전,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한-인니 수교 50주년 기념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하여, 인도네시아 재무부 장관(스리 믈야니 인드라와티), 중앙은행 총재(페리 와르지요), 신수도청 장관(밤방 수산토노) 등과 교류하고,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전환・ 인프라 개발 분야에 있어 양국 간 협력강화 방안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는 한-인니 양국 간 지속 가능하고 긴밀한 금융·투자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대사 간디 술리스 티얀토 수헤르만)주최로 마련된 자리로, 원 장관의 축사와 함께, 인니 재무부 장관의 기조연설, 에너지 전환과 인프라 개발을 위한 양국 간 금융협력 강화 등을 주제로 한 토론 세션 등이 진행되었다. 원 장관은 축사에서 “2060년 넷제로(NZE) 달성, 에너지 전환을 통해 녹색 성장을 구현한다는 인도네시아의 계획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양국 간 에너지 전환, 친환경 모빌리티, 인프라 개발 분야 협력이 보다 확대되어 실질적인 후속 성과로 이어져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지난 50년 동안 구축된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양국이 진정한 친구로서 더 나은 미래로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원 장관 자신도 지속적인 소통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62개 기관·기업 관계자로 구성한 원팀코리아 인도네시아 대표단 파견(3.15~18), 한-인니 경제협력 포럼(3.24), 비즈니스 포럼(5.3) 등 다양한 계기를 활용하여 한-인니 양국 간 교류를 이어가면서 우리 기업의 수주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고 있다. |
3. 화주기업 물류비 절감 및 효율화를 위한 컨설팅 지원사업 선정
배포일자 : 2023. 05. 03. |
[ 요약내용 ] : 전체내용 보기_보도자료 (molit.go.kr)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5월 3일(수) 오전,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한-인니 수교 50주년 기념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하여, 인도네시아 재무부 장관(스리 믈야니 인드라와티), 중앙은행 총재(페리 와르지요), 신수도청 장관(밤방 수산토노) 등과 교류하고,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전환・ 인프라 개발 분야에 있어 양국 간 협력강화 방안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는 한-인니 양국 간 지속 가능하고 긴밀한 금융·투자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대사 간디 술리스 티얀토 수헤르만)주최로 마련된 자리로, 원 장관의 축사와 함께, 인니 재무부 장관의 기조연설, 에너지 전환과 인프라 개발을 위한 양국 간 금융협력 강화 등을 주제로 한 토론 세션 등이 진행되었다. 원 장관은 축사에서 “2060년 넷제로(NZE) 달성, 에너지 전환을 통해 녹색 성장을 구현한다는 인도네시아의 계획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양국 간 에너지 전환, 친환경 모빌리티, 인프라 개발 분야 협력이 보다 확대되어 실질적인 후속 성과로 이어져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지난 50년 동안 구축된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양국이 진정한 친구로서 더 나은 미래로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원 장관 자신도 지속적인 소통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62개 기관·기업 관계자로 구성한 원팀코리아 인도네시아 대표단 파견(3.15~18), 한-인니 경제협력 포럼(3.24), 비즈니스 포럼(5.3) 등 다양한 계기를 활용하여 한-인니 양국 간 교류를 이어가면서 우리 기업의 수주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고 있다. |
◈ 정책정보(=국토교통부)로 보는 시장흐름
1. 정책 브리핑 주요내용 : 2023년 2월호
배포일자 : 2023. 02. 28. |
□ 이슈&칼럼 : 간선도로 기능 제고를 위한 도로부문의 향후 투자방향 1) 국가 간선도로망을 지속 확충하여 1970년 대비 2019년 기준으로 지역간 이동시간 45% 개선 성과달성 2) 도시부 혼잡으로 인한 간선도로 기능악화 심화 중 3) 향후 도로부문의 투자방향 : 지정국도와 지선국도 사업을 향후 도로건설 투자정책 수립 시 적극 발굴필요 4) 투자량에 비해 효율성(=올바른 일을 하는 것)을 극대화하는 데에 지정국도와 지정간선이 유용도구가 됨 □ 해외정책동향 1) 스웨덴의 수도권 지하도록 : 스톡홀름 바이패스 -.경제성 분석을 넘어서 비계량 영향요인을 대안으로 선정하여 결정된 성공사례 -.터널의 안전 확보를 위한 방재계획 : 24시간 모니터링, 자기대피, 환기시설, 고용량 배수시스템, 고정소방시스템 -.시사점 : 지하도로의 편익 산정을 넘어 지상공간활용성, 거주환경개선 등의 계량화되지 않는 요인들을 사업결정에 반영 필요 2) 지하도로가 가져올 미래 : 호주 WestConnex 사례를 중심으로 -.지하도록 개념 및 필요성 -.호주웨트커넥스 프로젝트의 부문별 효과 및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 -.국내 지하도로 개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 기타 내용 1) 기획 시리즈 : 도로 이동성 성과지표 2) 간추린 소식 : 국토부-서울시-한국도로공사, 경부지하고속도록 선설/연계 교통망 구축 협약 체결 3) 용어해설 : 지정국도 & 지선국도 |
2. 정책 브리핑 주요내용 : 2023년 1월호
배포일자 : 2023. 01. 31. |
□ 이슈&칼럼 : 도로의 르네상스를 꿈꾸며 1) 2023년 도로국 업무계획 -.정책비전 : 디지털 융복합 미래형 도로 -.정책방향 :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서 도로의 역할 강화 2) 다양한 교통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리티 혁신도로 4) 차량 번호판 영상 인식을 통한 무정차 통행료 납부 5) 디지털 국가도로망 종합계획 수립∙시행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도로시설을 디지털로 전환해야 하는 깊이와 폭이 달라질 것 -.실물을 가상 세계에 3차원 모델로 구현하고,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 6) 도심 교통정체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지하 고속도록 -.경부, 경인,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의 정체 문제 : 수평적 도로 확장이 불가능→지하 고속도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지하화로 인한 심리적 부담과 폐쇄감을 해소할 다양한 방안 마련 필요 □ 해외정책동향 1) 국가 차원의 도로 정보 관리 및 활용 -.도로 건설 대비 유지관리에 대한 투자비율 증가에 대한 미국의 HPMS 사례(=본보기 사례)를 소개한 내용 -.HPMS : Highway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2) 일본의 인프라 분야 디지털 전환(DX,Digital Transformation) : 아날로그→디지털화 □ 기타 내용 1) 기획 시리즈 : 도로정책 성과지표(=도로정책 성과지표 개요) 2) 간추린 소식 : 위험도로∙병목지점 개선 7단계 기본계획(2023~2027) 확정 3) 용어해설 : 메타버스(Metaverse) |
3. 정책 실명제>중점관리대상사업 : 2022년 대상사업
대상사업 : 2022년 |
[ 정책명 ] : 전체내용 보기_중점관리 대상사업 - 2022년 대상사업 (molit.go.kr) □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 □ 미래형 국토도시공간 실현을 위한 도시계획 체계 개편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 임대료 걱정없는 양질의 공공임대주택 50만호 공급 □ 전국도로 대상 디지털 도로대장 추진 □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 □ 대구권 광역철도 1단계 □ 대덕특구 동측 진입로 도로개설사업 □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 동면-진천 도로건설공사 □ 부산대교-동삼혁신도시간 도로개설사업 □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연장 □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 □ 세종-구리(안성-구리, 세종-안성) 고속도로 □ 신안-생비량 국도건설공사 □ 안심-하양 복선전철 □ 압해-화원 국도건설 사업 □ 울산농소-경주 외동 국도건설공사 □ 평택-오송2복선화 건설사업 □ 포천-화도 고속도록 민간투자사업 □ 벽지노선 지원사업 |
◈ 숫자로 보는 시장흐름
1. 거시경제 : 경제성장률, 1인당 국민 총소득, 환율, 물가, 실업률
1.1 경제성장률(실질 GDP) : -0.4%(2022년 4분기 기준)
1.2 1인당 국민 총소득(1인당 GNI) : 35,373.1 미국달러(2021년 기준)
1.3 환율(원/미국달러, 종가) : 1,333.00원(2023. 05. 03.), 전일대비 -9.00원
1.4 물가
-. 소비자 물가지수(2020년=100) : 110.11(2023. 01.), 전월 대비 +0.8%
-. 생산자 물가지수(2020년=100) : 108.91(2022. 12.), 전월 대비 -0.3%
1.5 실업률 : 3.6%(2023. 01.), 전월 대비 +0.6%
2. 인구 및 산업 부문 : 총인구, 경제활동 인구, 사업체 수, 종사자 수
2.1 총인구
-. 추계인구 : 51,558,034명(2023년 기준)
-. 주민등록인구 : 51,430,018명(2023년 01월 기준, 2022년 12월 대비 9,020명 감소)
-. 고령인구 비율(65세 이상) : 18.4%(2023년 기준, 전기 대비 +0.9%)
2.2 경제활동인구 : 28,673.9천명(2023. 01.), 전월 대비 287,000명 감소
2.3 사업체 수 : 1,865,536개(2020년 기준)
2.4 종사자 수 : 17,181,055명(2020년 기준)
3. 가계수지(가구당 월평균 수지, 도시 2인 이상 명목 기준) 부문 :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가계소득, 가계지출, 가계자산
3.1 가구원 수 : 2.98명(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0.01명 감소)
3.2 가구주 연령 : 52.56세(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0.2세 증가)
3.3 가계 소득 : 5,954,353원(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11,390원 감소)
3.4 가계 지출 : 4,605,015원(2022년 3/4분기, 직전 분기 대비 283,422원 증가)
3.5 가계 자산 : 54,772만원(2022년 기준, 전년도 대비 4,519만원 증가)
3.6 가계 부채 : 9,170만원(2022년 기준, 전년도 대비 369만원 감소)
3.7 가계 순자산 : 45,602만원(2022년 기준, 전년도 대비 4,150만원 증가)
4. 금융 및 금리 부문 : 종합주가지수, 기준금리, 1금융권 금리
4.1 기준금리
-. 한국 : 3.50%(2023. 02. 15.)
-. 미국 : 4.75%(2023. 02.)
4.2 은행예금 금리(예금은행 수신금리) : 4.22%(2022년 12월 기준)
4.3 일반대출 금리(예금은행 대출금리) : 5.56%(2022년 12월 기준)
4.4 종합주가지수
-. 코스피 : 2,501.40(2023. 05. 03. 전일대비 -0.91%)
-. 코스닥 : 843.18(2023. 05. 03. 전일대비 -1.45%)
5. 주택 및 토지 부문 : 거래현황, 인허가 및 착공현황
5.1 주택 및 토지 거래현황 증감률
-. 아파트 거래 증감률 : -49.23%(2022년 기준)
-. 주택 거래 증감률 : -46.76%(2022년 기준)
-. 순수토지 거래 증감률 : -28.92%(2022년 기준)
5.2 건축허가 증감률(전년대비) : + 3.6%(2022년 기준)
5.3 착공신고 증감률(전년대비) : -18.7%(2022년 기준)
5.4 준공 증감률(전년대비) : -11.2%(2022년 기준)
◈ 오늘의 특징주
상한가 달성 종목 해당일자 : 2023. 05. 03. 종가 기준 |
(코스피) 1. 유니온머터리얼 : 상한 2. 삼화전기 : 2연상, 상한 3. 성문전자 : 상한 (코스닥) 1. 한일화학 : 상한 2. 씨큐브 : 2연상, 상한 3. 상신전자 : 상한 4. 라이콤 : 상한 5. 케스피온 : 상한 |
거래량 폭증 종목 해당일자 : 2023. 05. 03. 종가 기준 |
(코스피) 1. 한국Ankor유전 : 16회, 상한 2. 유니온머터리얼 : 7회, 하락 3. 유니온 : 5회, 상승 4. 이아이디 : 16회, 미국 네바다 주에 리듐 광산사업 추진, 큰폭하락 5. 알루코 : 큰폭상승 6. DB : 큰폭상승 7. 덕양산업 : 5회, 상승 8. 한국내화 : 상한근접 9. 태경산업 : 상한근접 10. STX : 상승 11. 세하 : 큰폭상승 12. 서원 : 보합상승, 상한 13. 한솔테크닉스 : 큰폭상승 14.GS글로벌 : 상승 15. KC코트렐 : 소폭상승 16. 이구산업 : 2회, 상승 (코스닥) 1. 엔투텍 : 2회, 상승 2. 크리스탈신소재 : 큰폭상승 3. 에스아이리소스 : 2회, 큰폭상승 4. 현대무벡스 : 3회, 상승 5. 시티랩스 : 3회, 큰폭상승 6. THE E&M: 큰폭상승 7. 이트론(정보기기) : 18회, 가상화 VDI 솔루션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록, 소폭하락 8. 동국알앤에스 : 2회, 큰폭상승 9. 미래생명자원 : 상승 10. KD : 5회, 하락 11. CNT85 : 전일 상한, 하락 12. 티플랙스 : 상승 13. 이화전기 : 7회, 큰폭하락 14. 디알텍 : 큰폭상승 15. 레이크머터리얼즈 : 7회, 보합하락 16. EG : 전일상한, 상승 17. 코스나인 : 2회, 하한근접 18. 케이피온 : 상한 19. 코이즈 : 큰폭상승 20. 엘컴텍 : 상승 21. 이브이첨단소재(IT부품) : 11회, 하락 22. 씨씨에스 : 2회, 큰폭하락 23. 에코플라스틱 : 상승 24. 한일사료 : 상승 25. 모베이스전자 : 큰폭상승 26. 세토피아 : 상승 |
◈ 맺음말
이상과 같이 05월 03일자 투자공부자료를 정리했으며, 다음은 5월 04일자를 정리하여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05. 04...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