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넥산 설치 공사 전과 후의 예상
1. 좌측이미지가 넥산을 설치하기 위해 준비가 완료된 곳이고, 우측이 렉산을 설치하고 난 후에 예상되는 결과물이었습니다.
2. 설치업체 기술자분께 구두로 전달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제가 원하는 결과물대로 설치될 지 여부가 매우 궁금했었습니다.
3. 항상 도면을 그리고 그 도면에 특이사항을 기재하며 소통을 하던 방식과는 괴리가 조금 있는 공사 수행과정이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번 공사는 미관성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니 업체선정 과정에서도 심사숙고했었던 공사였습니다.
◈ 넥산 캐노피의 제작과정 : 공장제작
1. 공사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현장보다는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매우 단순한 설치작업 만을 수행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아무래도 현장에서는 필요한 유틸리티들이 적시적소에 공급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그 만큼 작업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2. 건축공사는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인력 투입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곧, 원가경쟁력이기도 합니다.
3. 화면의 ①번은 알루미늄 샤시로서, 복도 캐노피의 벽면이 될 부분이고 일부분은 창문이 설치될 예정입니다. 알루미늄 샤시는 브라운 색상이 기본인데 검은색으로 변경하면 도색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미관상의 목적으로 도색비용을 지불했습니다.
4. 화면의 ②번은 아연각관으로서 캐노피의 모든 하중을 지지해줄 구조체(=뼈대)입니다. 구두로 소통했던 대로 끝단은 굴곡작업을 통해 둥글게 작업이 되었습니다. 아연각관은 도색을 하지 않았습니다.
5. 화면의 ③번은 폴리카보네이트입니다. 굴곡작업을 수행한 대로 휘어지게 작업이 되어 있습니다.
6. 화면의 ④번은 창문이며, 베란다가 약 9m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고, 사람의 통행이 별로 없을 듯 하여 창문을 2개만 설치하는 걸로 했습니다. 하지만 사용 경험인 지금은 3개를 설치하는 것이 훨씬 좋았을 것 같습니다.
◈ 넥산 캐노피 현장설치 과정
1. 공사원가 절감을 위해 현장설치 기간은 최소화하는 걸로 시공을 했습니다. 공장에서 제작을 끝내고 설치공사 전날 야간에 미리 현장에 둔 후에, 공사 당일 하루에 모든 설치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한 일정계획이었습니다.
2. 현장설치 소요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은 공사원가를 낮추는데 큰 요인이므로 건축주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업체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3. 화면의 ①번은 아연각관을 설치하는 과정입니다.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설치까지 숙련자 3분이 오셔서 작업을 수행하시는데, 손발이 아주 잘 맞으시면서 전문가의 모습이 보였습니다.
4. 화면의 ②번은 알류미늄 샤시(흑색 도색)를 설치하는 과정이고, 이 과정에서 강화유리 전문업체를 에게 주문(강화유리 4면, 2개 창문 x 2면)하고 설치까지 완료합니다. 전문가분들 맞습니다...^^
5. 화면의 ③번은 복도 출입문입니다. 알루미늄 샤시로 설치했는데, 지금은 매우 후회하고 있습니다. 추후에 같은 상황이 온다면 하이샤시로 선택할 것 같습니다.
◈ 넥산 캐노피 설치 하자발생
1. 하자발생 부위는 화면의 ①번에서 보이는 부분이며, 화면의 ②번과 같이 캐노피 기둥과 출입문의 문틀이 벌어져서 발생한 것입니다.
2. 원인은 화면의 ③번과 같이 기존 베란다 벽면을 조적(시멘트 블록)공사해놓은 곳이 수직이 맞질 않는 것을 뒤늦게 파악한 것입니다.
3. 설치작업은 전무가가 맞지만, 제작에는 치밀함이 살짝 의심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물론 본 바탕이 기울어져 있으니 하자라고 판정하기에는 다소 이견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하지만 아래의 촬영 이미지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공사목적이 화면의 ①번 위치에 화면의 ②번 캐노피를 설치하는 것이었으나, 실제로는 화면의 ③번과 같이 설치가 되어서 엉뚱한 공사를 수행한 걸로 될 수 있습니다.
5. 위의 화면은 금번 복도 차양막 설치공사의 범위는 아니지만 해당 공사와 2건의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걸로 계약(지난 현광공사에 관한 포스팅에서 언급된 내용입니다.)이 된 것에 대한 결과물이니 저와 구두로 협의하고 측정을 하셨던 분은 치밀함을 좀 더 보완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6. 결국 틈새가 벌어진 것(이 건은 그분과 합의된 사항이므로 아쉬움은 없습니다.)과 현관지붕 누수문제는 제가 직접 해결했습니다만, 현관공사의 지붕누수 문제로 인한 후속 대응이 너무 불성실(?)하셨습니다. 업체선정의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판단되며, 다음부터 이런 공사의 협의는 꼭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 것이 필수로 보입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복도 차양막(폴리카보네이트, 넥산) 설치공사에 대한 공사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복도 차양막 설치공사의 공사비용 집계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내용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6. 28....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도시가스 인입 공사 순서, [생활 터전 짓기 040. 단독주택 리모데링 LNG 인입공사 (1편)] (0) | 2022.06.30 |
---|---|
넥산 설치 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39. 단독주택 리모델링 복도 차양막 공사 (4편)] (0) | 2022.06.29 |
넥산 캐노피의 기초개념 정리, [생활 터전 짓기 037. 단독주택 리모델링 복도 차양막 공사 (2편)] (0) | 2022.06.27 |
넥산 설치 준비작업, [생활 터전 짓기 036. 단독주택 리모델링 복도 차양막 공사 (1편)] (0) | 2022.06.24 |
외벽 드라이비트 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35. 단독주택 리모델링 외벽공사 (3편)]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