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 2층 내부 천정 목공사의 개요
1. 2층 천정 목공사는 약 53.57㎡ 면적에 화면의 ①번 부위의 각재 들에 화면의 ②번과 같은 합판을 부착하는 공사입니다.
2. 화면의 ①번의 각재들의 간격에 따라 450상 또는 300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구조체(=뼈대) 목적으로 설치하게 될 각재 간격[450mm간격(=450상) 또는 300mm(=300상)]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에 따른 장단점은 시공성과 지지력, 처짐량 등의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보이시는 바와 같습니다. 과거에는 450상으로 시공한 곳이 많으나 요즘은 300상이 대세라고 합니다.
3. 본 공사와 같은 리모델링 공사의 경우에는 기존에 이미 구조체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시간이나 비용적인 문제에서 쉽지 않아서 450상 그대로 합판을 부착하기로 했습니다.
◈ 내부 목공사 셀프시공을 위한 필수공구 소개
1. 천정의 목공사(물론 위 화면의 ③번과 같이 벽체 목공사 등도 포함)를 위해서는 다양한 목적의 공구가 필수입니다만, 저와 같이 완전 초보자이면서 직업으로 공구를 계속 사용하지 않을 분들에게 소개해드리는 최소한의 필수공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나름대로 시공성(=작업속도)과 경제성(=돈)에 대한 균형을 최대한 감안했습니다.
2. 목재(=합판, 각재 등) 절삭공구
1) 합판과 각재 등의 절단용(=테이블 쏘우, 화면의 ①번)인데, 구비하지 않으면 작업자의 체력과 시공품질에 큰 문제될 수 있습니다. 해당 기계는 목수 1인과 보조공 1인에 대한 하루 일당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그 효과는 엄청납니다.
2) 화면의 ②번이 합판 절단 시에 절단면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는데, 화면의 ③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최대 작업반경이 64cm정도입니다. 합판의 좁은 면을 절단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으나, 합판의 넓은 면을 절단할 때에는 가공이 불가능한 구간이 발생합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테이블에 부대장치를 제작하여 설치하여 해결하지만, 초보자인 저는 합판에 선을 긋고 수작업으로 절단을 했습니다.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3) 참고로 합판을 절단할 때는 테이블 쏘우의 대각선 위치(화면의 ④번)에서 합판의 평형을 유지하고 밀어주어야 합니다. 처음에는 일부 도움을 받았지만 이후에는 익숙해지면서 혼자서도 큰 어려움 없이 절단을 하게 되더군요. 저는 5mm 두께의 합판이었으므로 합판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 살짝 어려웠습니다.
3. 체결공구(=타카)
1) 초보자가 망치로 못을 이용해서 합판을 부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듯하지만, 타카를 이용하게 된다면 전문 목수 못지않은 작업속도와 품질이 나올 수 있습니다.
2) 목공사를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타카들이 나와 있지만, 각재 체결용(화면의 ①번)과 합판 체결용(화면의 ③번) 정도이면 시공에는 무리가 없었습니다. 각재 체결용 타카(화면의 ①번)는 각재와 각재 체결(=DT)과 콘크리트+각재 체결(=ST)이 가능하며, 합판 체결용 타카(화면의 ③번)은 합판과 각재를 체결할 때 사용합니다.
3) 화면의 ②번은 해당 타카의 작업이 가능한 타카핀의 길이와 모양 정보를 기록한 것입니다. 참고로 ST는 타카 끝이 뾰족한 편이고 DT는 뭉툭한 형태입니다. 화면의 ④번은 합판 체결용으로 전기 타카라는 장점으로 구매를 하게 되었으나, 소음이 심하고 합판 체결부위에 흠집이 많이 났으며, 작업 속도가 늦고 결국은 고장으로 인해 버리게 되어서, 목적 달성을 하지 못한 투자 실패사례입니다.
4. 체결용 기타공구
1) 화면의 ①번은 천정이나 벽체의 목공사 용도는 아니지만 목공사의 일종인 몰딩 작업용으로 ‘실타카’라는 이름 그대로 몰딩에 타카 흔적을 거의 남기지 않는 공구입니다. 최종 마감재에는 꼭 필수입니다.
2) 화면의 ②번은 에어 타카에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축기(=에어 콤퓨레샤)로서,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저장 및 공급을 해주는 장치입니다.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데는 1마력 정도의 파워이면 문제가 없었습니다. 큰 부피가 부담되어 압축공기 저장탱크(콤푸레샤 크기의 결정적 원인임) 다소 작은 것을 선택했습니다.
3) 작은 크기의 콤퓨레샤여서 이동성과 보관성이 우수하지만 압축공기를 자주 보충해야 하므로 콤퓨레샤가 자주 작동하는 문제(작동 시 소음이 발생합니다.)는 있습니다.
5. 계측공구 #1_자동
1) 자동 레이저 레벨기(화면의 ①번)는 무조건 필수입니다. 제가 주택 리모델링 공사를 하면서 직접 시공한 작업의 속도와 품질은 자동 수평레벨기의 존재여부가 극명한 차이를 만들었다고 평가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2) 자동 레벨기의 가장 중요한 핵심기능은 화면의 ②번과 같이 자동보정 기능이며, 이 기능과 함께 화면의 ③번의 밝기 기능이 작업의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줍니다.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입니다.
3) 화면의 ④번과 같이 라인을 여러 개 동시에 보여주는 기능 또한 못지 않게 큰 도움을 줍니다. 목공사 외에도 타일공사나 계단공사, 액자 설치 등에도 지속적이고 활용성도 매우 넓습니다.
6. 계측공구 #2_기타
1) 기타 계측에 필수적인 공구(=도구)들은 위의 화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동 수평자와 줄자, 싸인펜이 있습니다.
2) 수동 수평자는 수평선을 필요로 하는 모든 공간에 기준선을 긋기 위해 필요하며, 줄을 긋기 위한 곧은자 역할 등의 활용도가 매우 다양해서 목공사 외에도 수많은 공종에 공통으로 활용되는 공구입니다. 또한 긴 것과 짧은 것 등의 다양한 길이의 수평자가 있을 수록 효과는 더 좋습니다.
3) 줄자의 중요성은 언급할 필요도 없을 것같고, 의외로 모나미 수성 싸인펜의 활용도는 무경험자였던 저에겐 신세계급(?) 도구였습니다. 건축현장에서 사용하기에 그 어떤 고급 펜들보다도 사용성이 우수한 싸인펜입니다.
7. 사다리
1) 화면의 ①번과 같이 보배우마는 천정 목공사를 포함하여 도배·조명설치·전기공사 등에도 활용폭이 매우 넓은 사다리입니다. 천정공사에는 없으면 않될 필수도구입니다.
2) 화면의 ②번과 같은 미니 사다리는 천정공사의 특정 위치에서 신속하게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필요합니다. 화면의 ③번과 다소 중복 투자로 보일 수 있으나, 높은 사다리가 없을 경우에는 보조공이 팔을 높이 들고 벌쓰는 상황이 될 수 있으니 감안해야 합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천정 목공사에 대한 필수공구를 소개했습니다.
이상으로 공구에 대한 경험은 마무리하고 다음은 천정 목공사에 대한 시공과정을 준비하여 경험한 과정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7. 014....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