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주택 내부 바닥 타일공사 바닥재 선정하기 , [생활 터전 짓기 059.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바닥공사 (1편)]

반응형

 

◈ 내부 바닥공사의 작업범위

1. 작업 대상 바닥의 상태

1) 해당 작업 대상의 바닥은 기존(=리모델링 이전)에 거실 바닥부분이 마루로 되어 있었고 온돌이 없었기 때문에 온돌을 넣고 바닥의 레벨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방통공사(=방바닥 통미장 공사)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2) 방통공사는 ‘거실+큰방의 일부+작은방1 전체’(=‘부엌+큰방 일부+작은방2’는 방통공사 공제외)를 시공하여 바닥 레벨을 맞추었고, 당시 시공을 주관했던 기술자분의 말씀에 의하면 전체 바닥의 레벨이 최대 1cm 이내로 일정하며 바닥에 타일공사를 해도 무방하다고 했습니다.

3) 하지만 벽체공사 과정에서 합판의 길이가 3cm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걸 확인했으니, 사실과 다른 이야기 같습니다...^^;;

 

2. 주택 2층 내부 바닥공사의 작업 대상은 거실, 부엌, 방 3개와 현관에 대한 시공입니다.

 

3. 내부 바닥공사 작업규모는 총 53.57㎡(=약 16.3평)의 면적입니다.

1) 거실 : 15.84㎡(3.3m x 4.8m)

2) 부엌 : 8.84㎡(2.4m x 3.6m)

3) 큰방 : 12.71㎡(4.1m x 3.1m)

4) 작은방1 : 8.68㎡(2.8m x 3.1m)

5) 작은방2 : 5.88㎡(2.1m x 2.8m)

6) 현관 : 1.82㎡(1.4m x 1.3m)

 

◈ 바닥재의 선정

1. 바닥재는 장판·마루·목재·타일·석재 등의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지금도 끝임 없이 개발되어 오고 있습니다. 당 리모델링 공사에서 바닥재 선정에 대한 고민은 그렇게 많은 시간을 투입하지는 않았습니다. 매우 확고부동한 의지로 바닥재를 선정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2. 너무 종류가 많아서 부담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바닥재에 대한 공부를 피할 수 는 없으am로, 가장 보편적인 바닥재인 장판과 마루, 타일에 대해서만 살짝 언급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3. 바닥재의 기본적 정보

3.1 장판 : 주거용 바닥재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며, 두께에 따라 성능 차이가 많이 납니다. 두께는 1.8mm부터 6mm까지 다양하고 표면 강도가 높지 않아 발의 피로가 덜하다는 장점과 신발을 신어야 하는 장소에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2 마루 : 강화마루 Vs. 강마루

 

1) 강화마루

-. 화면의 ①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원목과 껍질을 통째로 분쇄(=톱밥)하여 화학용품을 첨가 한 후에 고온·고압으로 압축한 HDF(high-density fiberboard)에 필름을 코팅해서 만든 바닥재입니다.

-. 화면의 ③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강화마루를 서로 끼워서 맞추는 방법으로 시공을 하게 되므로 접착제가 필요 없으며, 시공이 간편합니다.

-. 바닥과 밀착이 안 되므로 소음이 유발되고 시간이 벌어질 수 록 틈새가 벌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2) 강마루

-. 화면의 ②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얇은 합판 위에 수지를 압착하여 만든 고강도수지를 올리고 원목 무늬 필름을 코팅해서 만든 바닥재입니다.

-. 화면의 ④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닥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밀착해서 시공을 하게 되므로 소음이 적고 틈새 벌어짐에 강하며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강화마루의 단점을 개선한 것이 장점입니다.

-. 보수나 철거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비싼 것이 단점입니다.

 

3.3 타일 : 폴리싱 타일 Vs. 포세린 타일

1) 포세린 타일

-. 세라믹 타일 가운데 자기질에 속하는 타일이며, 내구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습니다.

-. 차분하고 세련된 느낌을 주는 마감재로, 코팅 처리를 하지 않아 표면이 거칠 편이고 표면이 마모되더라도 본래 색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하지만 오염에 쉽게 노출되어 관리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폴리싱 타일

-. 포세린 타일을 연마해서 표면을 매끄럽고 광이 나도록 만든 것으로 천연 대리석과 가장 가까운 타일입니다.

-. 유광이므로 고급스럽고 포세린 타일에 비해 청소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하지만 표면이 차갑고 미끄러워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바닥재 선정

1) 사실 바닥재는 타일공사로 결정(고급스러움에 대한 로망을 버릴 수가 없었습니다...ㅋㅋ)을 해놓은 상태였지만, 포세린과 폴리싱 타일에서 선택하는데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2) 결국 청소에 대한 고통(?)과 고급스러움의 장점인 폴리싱 타일로 선정했고, 미끄러움은 실내화를 통해 예방하기로 했습니다.(폴리싱 타일 바닥으로 생활해본 지금의 경험으로는 매우 훌륭하고 만족한 선택이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내부 바닥공사에 대한 작업범위와 재료선정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해당 공사는 기술자에 의해 시공되어야 할 영역입니다. 사실 비용절감을 위해 직접수행을 해보려고 공부를 해봤으나 해당 주택의 바닥상태가 초보자가 타일공사를 감당하기는 불가능한 수준이었습니다. 다만 바닥상태가 매우 양호한 아파트 정도라면 도전을 해봐도 큰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이상으로 2층 바닥에 대한 바닥공사의 작업범위는 마무리하고 다음은 바닥 타일공사 시공과정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과정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7. 027....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