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가 1층의 보일러실 내부공사 개요
1. 작업범위
1) 상가 1층의 보일러실 내부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점선으로 구획된 구간에 대한 공사입니다.
2) 금번 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101호 보일러실)과 ②번(=1층 창고), ③번(=102호 보일러실)
이 작업구간에 해당됩니다.
3) 3곳 모두의 상태는 별도로 촬영을 해두지는 않았지만, 심한 오염과 건물 관리활동의 부족으로 인해 많이(^^;;) 지저분했습니다.
4) 호실은 위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101호이고 우측은 102호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2. 보일러실 내부공사 작업규모
1) 101호 보일러실 : 가로 1.33m x 폭 1.86m x 높이 1.9m
2) 1층 창고 : 가로 0.76m x 폭 1.25m x 높이 1.7m
3) 102호 보일러실 : 가로 1.33m x 폭 1.03m x 높이 2.7m
◈ 상가 1층 보일러실 시공 전
1. 101호 보일러실
1) 화면의 ①번이 101호 보일러실입니다.
2) 화면의 ②번은 최초 건축에서는 없었던 공간을 확장(?)하게 되면서 기존 벽을 허물고 출입구를 뚫어 놓은 곳입니다. 화면의 ③번과 같이 해당 출입구가 별도의 마감처리도 없이 벽을 파쇄한 흔적 그대로 존치된 것을 보고 추측한 것입니다.
3) 화면의 ④번은 화장실과 구획을 주기위해 가벽을 설치한 곳(=지난 포스팅에서 공유한 정보와 같습니다.)으로서 금회 작업범위에서는 제외되어 있습니다.
4) 101호 보일러실의 구획은 화면의 ⑤번에서 보이는 구획에 따르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최초 건축에 비해서 강제(?)로 확장된 공간입니다.
2. 1층 창고(=화면의 ②번, 내부 촬영이미지가 없어서 아쉽습니다.)
1) 최초 건축 당시에서부터 계획에 의해 지어진 것이 아닌 공간이라서 협소하고 환기가 어려운 구조(=1층 화장실의 환기창과 연결되어 있지만, 정작 창고는 밀폐된 구조...^^;;)입니다.
2) 천정면과 바닥면은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별도의 마감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이며, 특히 바닥의 레벨 차이가 심한 편입니다.
3) 벽면은 시멘트 블록으로 조적한 후에, 미장 작업을 하고 페인트 칠로 마감한 상태입니다.
4) 별도의 조명장치가 없이 30w 백열등을 1층 화장실과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출입문은 화면의 ⑥번과 같이 101호 보일러실과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3. 102호 보일러실
1) 화면의 ⑦번이 102호 보일러실입니다.
2) 화면의 ⑧번이 실제 보일러실 외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이지만, 아쉽게도 내부를 촬영해두지 않았습니다.
3) 보일러가 기름(=보일러 등유)이었고, 장기간 동안 등유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된 가스에 의해 벽면이 시커멓게 그을린 상태였으며, 그나마 101호 보일러실에 비하면 나름대로 괜찮은 상태였습니다.
◈ 상가 1층 보일러실 내부공사의 시공 후
1. 보일러실 출입문 및 가벽 작업
1) 작업내용 : 천정·벽체·바닥작업
2) 작업순서
-. 출입문(=화면의 ①번) : 청소→도색(=검정색 페인트 2회)
-. 보일러실 내부면 가벽(화면의 ②번) : 구조목 설치→이보드(=페인트용)→도색(=백색, 2회)
3) 작업주체 : 셀프시공
2. 101호 보일러실(화면의 ①번과 ②번)
1) 작업내용 : 천정·벽면·바닥작업
2) 작업순서
-. 천정면 : 각재(=다루끼, 천정면 기준선)설치→합판부착→렉사판(=PVC 천정재) 설치
-. 벽면(상단) : 페인트(=백색, 2회)
-. 벽면(하단) : 이보드(=페인트용) 부착→페인트(=백색, 2회)
-. 바닥면 : 우레탄 하도(우레탄 방수)+우레탄 상도(우레탄 방수)
-. 전기공사 : CD관 설치→전기배선작업→스위치 연결→콘센트 설치→조명설치
3) 작업주체 : 셀프시공
3. 창고(=화면의 ①번)
1) 작업내용 : 천정·벽면·바닥작업
2) 작업순서
-. 천정면 : 각재(=다루끼, 천정면 기준선)설치→합판부착→렉사판(=PVC 천정재) 설치
-. 벽면(상단) : 페인트(=백색, 2회)
-. 벽면(하단) : 이보드(=페인트용) 부착→페인트(=백색, 2회)
-. 바닥면 : 우레탄 하도(우레탄 방수)→우레탄 상도(우레탄 방수)
3) 작업주체 : 셀프시공
4. 102호 보일러실
1) 작업내용 : 천정·벽면·바닥작업
2) 작업순서 : CD관 연결→타공→전선연결→스위치·콘센트 부착→조명설치
-. 천정면 : 각재(=다루끼, 천정면 기준선)설치→합판부착㎥렉사판(=PVC 천정재) 설치
-. 벽면 : 이보드(=페인트용) 부착→페인트(=백색, 2회)
-. 바닥면 : 타일접착제(=압착시멘트)→타일부착→줄눈(=백색시멘트)
3) 작업주체 : 셀프시공
◈ 자재 및 도구 투입량
1. 101호 보일러실 내부공사 : 총 12.15만원
1) 인력투입 : 4MD(1인 x 4일)
2) 각재(3.8mm x 3.8mm x 2000mm, 8개) : 1.2만원
3) 가벽(두께 3.5mm, 재활용품) : 산출제외
4) 이보드(900mm x 2400mm 페인트용, 3장) : 3.3만원(배송비 별도)
5) 렉사판(300mm x 240mm, 1장) : 1만원(배송비 별도)
6) 페인트(백색 반광, 1L) : 2만원(배송비 별도)
7) 페인트 도구(롤러 1개, 붓 1개) : 0.5만원
8) 우레탄 하도(=크린탄 1000), 1l : 0.45만원(배송비 포함)
9) 우레탄 상도(=크린탄 3000), 2kg : 1.5만원(배송비 포함)
10) 콘센트 : 0.3만원
11) 스위치 : 0.2만원
12) 조명(10w, LED) : 1.7만원
2. 1층 창고 내부공사 : 5.63만원
1) 인력투입 : 2MD(1인 x 2일)
2) 각재(3.8mm x 3.8mm x 2000mm, 5개) : 0.75만원
3) 창호 밀폐용 목재(두께 3.5mm, 재활용품) : 산출제외
4) 이보드(900mm x 2400mm 페인트용, 1장) : 1.1만원(배송비 별도)
5) 렉사판(300mm x 240mm, 1장) : 1만원(배송비 별도)
6) 페인트(백색 반광, 1L) : 2만원(배송비 별도)
7) 페인트 도구(롤러 1개, 붓 1개) : 산출제외(공동사용)
8) 우레탄 하도(=크린탄 1000), 0.4l : 0.18만원(배송비 포함)
9) 우레탄 상도(=크린탄 3000), 0.8kg : 0.6만원(배송비 포함)
3. 102호 보일러실 내부공사 : 12.75만원
1) 인력투입 : 3.5MD(1인 x 3.5일)
2) 각재(3.8mm x 3.8mm x 2000mm, 1개) : 0.15만원
3) 이보드(900mm x 2400mm 페인트용, 6장) : 6.6만원(배송비 별도)
5) 렉사판(300mm x 240mm, 1장) : 1만원(배송비 별도)
6) 페인트(백색 반광, 0.75L) : 1.5만원(배송비 별도)
7) 페인트 도구(롤러 1개, 붓 1개) : 산출제외(공동사용)
8) 자기질 타일(=200mm x 200mm), 0.5박스 : 3만원(배송비 포함)
9) 압착시멘트(=40kg), 1포대 : 0.5만원
10) 줄눈재(20kg), 1개 : 산출제외(소량)
4. 작업도구 : 0만원
1) 톱니고대(=화면의 ①번), 1개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2) 멀티줄눈제거기(=화면의 ②번), 1개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3) 금속헤라(=화면의 ③번), 1개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4) 고무헤라(=화면의 ④번), 1개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5) 스펀지(=화면의 ⑤번), 1개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6) 타일커터(=화면의 ⑥번)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7) 원형 톱날 절단기(=화면의 ⑦번)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8) 수평자(=화면의 ⑧번)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9) 레이저 레벨계(=화면의 ⑨번)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10) 다목적 가위(=화면의 ⑩번)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11) 홀쏘(=화면의 ⑪번, 32mm)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12) 멀티테스트기(=화면의 ⑫번) : 산출제외(기존 보유 활용)
◈ 공사 계획 대비 수행 결과 비교
1. 공사비
1.1 예산수립 당초 : 55만원
1.2 실제집행 : 30.53만원
1) 인건비 : 0만원(셀프시공)
2) 자재비 : 30.53만원
2. 업체선정
1) 업체섭외 : 해당사항 없음
2) 제품구입 : 현장 인근 직접 구매
3. 공사기간 : 총 11일 소요
3.1 전문업체 : 0일
3.2 자체수행 : 총 11일 소요
1) 시공 : 9.5MD(1인 x 9.5일)
2) 타일 건조 : 1.5일
◈ 공사비용 집계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상가 1층 보일러실 내부공사에 대한 비용집계를 소개했습니다.
당 공사는 2층(=주택) 리모델링 과정과 1층(=상가)의 인테리어 과정에서 구매했던 공구들과 축적된 셀프시공 경험이 비용절감에 매우 많은 효과를 발휘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공구와 경험이 이후에도 지속하게될 건물의 유지관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더 확신이 생기고 있습니다...^^
다음은 상가 1층 전기공사의 시공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10. 19.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