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전기공사 선로작업, [생활 터전 짓기 134. 상가 건물 공통부문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반응형

 

◈ 공통공간 전기공사의 개요

1. 작업범위

1) 공통공간에 대한 전기공사는 1층 현관부터 2층 출입통제 장치까지를 포함한 전기 케이블과 제어 케이블에 대한 점검 및 재설치 공사입니다.

2) 금번 공사는 화면의 ①번(1층 복도 전원케이블)과 ②번(=1층 복도조명)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전기 케이블의 도통시험을 통해 전원 공급상태와 단선여부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3) 화면의 ③번은 2층에서 현관 출입문의 개폐장치(=아날로그 방식)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공급용 케이블과 통신용 4선 신호케이블(=화면의 ④번)입니다.

4) 기타 1층 화장실과 보일러실 등으로 공급하는 전기케이블이 있으나 금번 포스팅에서 제외(=이미 포스팅된 내용입니다...^^)합니다.

 

2. 작업내용

1) 작업내용은 크게 전원케이블의 점검∙교체 작업과 출입통제용 전원공급∙비디오폰 설치 작업의 2가지로 구분됩니다.

2) 전원케이블 작업 : 도통시험, 전기케이블 교체 및 추가설치

3) 출입통제 장치 설치작업 : 전원공급 및 제어케이블 점검, 비디오폰(내부제어용과 초인종 포함) 설치

4) 2층 내부에는 기존(=인테리어 이전)에 아날로그 폰이 설치되어 있으나, 1층 현관 출입문과의 직접적인 사용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당 공종에 대한 시공과정 편에서 언급될 듯 합니다.

 

◈ 공통공간 전기 선로작업 과정

1. 2층 거실 선로

1) 2층 거실으부터 1층 현관문까지 연결된 선로상태를 파악하고 용도에 부합하도록 변경설치를 하고자 하며, 그 시작점이 2층 거실의 화면의 ①번이 되겠습니다.

2) 기존(=리모델링 이전)의 선로상태는 출입통제 제어선(=화면의 ②번, 아날로그 4선식)과 콘센트 상시전원(=화면의 ③번), 그리고 나머지 스위치 전원(=화면의 ④번, ⑤번)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습니다.

3) 직관적으로는 화면의 ②번과 ③번이 비디오폰의 통신용 4선과 전원공급 케이블로 선로공사가 되도록 했어야 하지만, 어떤 이유인지는 몰라도 화면의 ③번은 콘센트 전원으로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4) 화면의 ④번 상전원에서 분기하여 ⑤번 스위치의 상전원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⑤번의 하단 스위치가 1층 복도 처마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있는데, 해당 스위치를 현관문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 변경했습니다.

 

2. 1층 현관문 선로

1) 화면의 ①번이 거실의 아날로그 4선식 제어선인데 사용은 하지 않았음에도 세월의 흐름에는 어쩔 수 없었는지 케이블 피복과 CD관에 부식이 심합니다. 제어선을 교체하기에는 일이 너쿠 커질 우려가 있어서 CD관만 교체했습니다.(=제발 제어용 케이블 변경상황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2) 화면의 ②번은 기존에 현관문 자동 개폐용 전원이었으나, 상시전원이라서 센스조명에 적합하여 1층 복도의 처마 조명용으로 선로작업을 했습니다.

3) 화면의 ③번은 기존에 복도 조명에 공급하던 전원인데, 현관문 개폐용 전원으로 변경하여 선로작업을 했습니다.

4) 화면의 ④번은 제어용 아날로그 4선을 매립용하여 설치한 상태입니다. 대문의 크기를 확장하고 외부 초인종을 보호 목적으로 초인종을 이동하여 설치했습니다.

 

3. 1층 처마 선로

1) 화면의 ①번이 현관문 개폐 목적이었다면 스위치 전원으로 설치했어야 하지만. 상시전원이었기 때문에 용도와 다르게 사용되었습니다. 결국 이런 문제로 인해 기존 현관문 개폐기능을 사용하지 못했던 걸로 파악됩니다.

2) 그래서 화면의 ①번을 복도 처마 조명용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화면의 ②번(=처마 외측 조명)과 ③번(=처마 내측 조명)과 같이 복도 조명용으로 분기하여 선로작업을 수행했습니다.

3) 복도 조명은 화면의 ④번과 같이 센스 등으로 설치하여 야간에 현관을 통과하여 복도를 거치는데 무리가 없도록 했습니다.

4) 참고로 화면의 ⑤번은 CD관의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 렉사판 사이에 홈을 우레탄폼으로 잡았주었고 화면의 ⑥번은 102호실에 임시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분기한 상시전원입니다.

 

4. 1층 처마 조명

1) 화면의 ①번부터 ②번까지는 센스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작업입니다.

2) 선로작업은 처마 마감재 교체공사를 선행하고 난 이후라서 부득이 화면의 ③번(=몰딩) 내부에 케이블을 매립했으나, 마감작업이 깔끔해 보이진 않습니다.

3) 공종의 순서가 바뀌게(=전기 선로작업 후에 처마 마감재를 설치해야 했으나, 선로작업을 후공종으로 작업하게된 상황) 되었기 때문입니다.

4) 화면의 ④번과 같이 복도 내측 센스등을 설치했으나, 센스감지가 예민하여 감지부를 뒤로 돌려서 재설치하게 되었습니다.

 

5. 작동시험

1) 화면의 ①번 위치에 전기의 공급상태를 확인했으며,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습니다.

2) 화면의 ②번과 같이 복도 처마에 설치된 센스등(=내측과 외측 센스등 포함)도 문제없이 정상작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3) 다만, 설치된 센스등이 지나가는 차량이나 바람 등에 의해 생긴 빛의 변화에 너무 예민하게 작동하여 센스등의 감지부를 뒤측을 향하게 설치했습니다. 화면의 ③번은 센스등의 위치와 방향을 교정하기 위해 설치한 센스등의 나사못 자국입니다.(=좀 흉하긴 합니다만, 실리콘 등으로 보수작업을 해야 겠습니다.)

4) 화면의 ④번은 상시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나, 특별한 용도가 없어서 추후에 활용처를 만들어 볼 계획입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공통공간 전기공사에 대한 선로작업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공통공간 출입통제장치 설치작업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11. 21.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