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전기공사 비디오폰 교체하기, [생활 터전 짓기 135. 상가 건물 공통부문 셀프 인테리어 공사]

반응형

 

◈ 공통공간 전기공사의 개요

1. 작업범위

1) 공통공간에 대한 전기공사는 1층 현관부터 2층 출입통제 장치까지를 포함한 전기 케이블과 제어 케이블에 대한 점검 및 재설치 공사입니다.

2) 금번 공사는 화면의 ①번(1층 복도 전원케이블)과 ②번(=1층 복도조명)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전기 케이블의 도통시험을 통해 전원 공급상태와 단선여부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3) 화면의 ③번은 2층에서 현관 출입문의 개폐장치(=아날로그 방식)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공급용 케이블과 통신용 4선 신호케이블(=화면의 ④번)입니다.

4) 기타 1층 화장실과 보일러실 등으로 공급하는 전기케이블이 있으나 금번 포스팅에서 제외(=이미 포스팅된 내용입니다...^^)합니다.

 

2. 작업내용

1) 작업내용은 크게 전원케이블의 점검∙교체 작업과 출입통제용 전원공급∙비디오폰 설치 작업의 2가지로 구분됩니다.

2) 전원케이블 작업 : 도통시험, 전기케이블 교체 및 추가설치

3) 출입통제 장치 설치작업 : 전원공급 및 제어케이블 점검, 비디오폰(내부제어용과 초인종 포함) 설치

4) 2층 내부에는 기존(=인테리어 이전)에 아날로그 폰이 설치되어 있으나, 1층 현관 출입문과의 직접적인 사용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당 공종에 대한 시공과정 편에서 언급될 듯 합니다.

 

◈ 공통공간 출입통제장치 설치작업

1. 제어용 케이블 연결작업

1)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바에 좌측상단은 설치되어야 할 비디오폰(=2층 거실에 설치될 예정)과 초인종(=1층 현관에 설치예정)이고 상단우측은 케이블 회로도, 그리고 하단은 1층 현관입니다.

2) 화면의 ①번은 아날로그 4선에 대한 회로도로서 2층 거실의 비디오폰에 연결되는 케이블(=화면의 ②번)의 순서와 현관 초인종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순서만 일치하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것입니다.

3) 회로도에 새겨진 회로도별 색상과 실제로 설치되어야 할 케이블의 피복색상을 회로도와 동일하게 맞추어 주면 아무런 혼란없이 설치에 성공하게 됩니다.

4) 화면의 ②번 위치에 설치된 초인종(=화면의 ③번)을 누르면 비디오폰의 화면에 자동으로 뜨게되고(=화면의 ④번을 누르면 현관 화면이 뜹니다.) 화면의 ⑤번을 눌러서 서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2. 전원용 케이블 연결작업

1) 위의 화면의 ①번은 비디오폰과 현관문에 설치된 자동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구성도입니다.

2) 화면의 ②번에 설치된 전원 케이블과 비디오폰에 연결할 전원 케이블만 연결하면 되는 매우 단순한 작업이고, 비디오폰에 있는 화면의 ③번을 누르면 1층 현관문이 열려야 하지만,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질 않았습니다.

3) 수 차례의 재작업을 통해 결국은 화면의 ④번 상전압 선에서 분기하여 스위치용 상전압을 제공하고 건물 내벽의 어딘가에서 분기(=확인불가)를 하여 선로작업이 되어 있어서 기능구현이 불가능한 걸로 결론지었습니다.

4) 가장 단순한 작업에서 수 차례의 반복작업으로 인해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입하게 된 것으로서, 이전에 노부부께서도 자동개폐장치를 사용하지 못한 이유였던 듯 합니다.

 

3. 출입통제 장치 설치작업

1) 위의 화면은 2층 거실에 설치 완료된 출입통제 장치입니다.

2) 화면의 ①번이 비디오폰이고 제어용 케이블 연결작업과 벽면 고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이며, 화면의 ②번이 현관문 자동개폐용 전원 공급스위치입니다. 화면의 ③번 위치에 있던 케이블을 연장하고 스위치 위치를 옮겨놓은 상태입니다.

3) 현관문 개폐장치를 비디오폰에 직접하여 문제가 없었다면 상관없겠지만, 부득이하게 누름버튼스위치(=화면의 ④번)형태로 마감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4) 하지만 주택 2층 거실에 위치하기 때문에 미관성을 무시할 수가 없어서 화면의 누름버튼스위치(=화면의 ⑤번)만을 구매하기 위해 화면의 ⑥번 스위치를 구매하여 통신용 스위치 커버에 넣어서 화면의 ②번과 같이 부착했습니다.(=해당 스위치를 찾는 노력과 다소 차이가 나는 형태로 인해 조작을 하는 과정까지 적지않은 시간을 투입했습니다...^^;;)

 

4. 출입통제장치 작동시험

1) 화면의 ①번과 같이 외부에서 초인종을 누르고 2층에서 영상을 확인한 후에 통화하는 과정까지 문제없이 정상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2) 2층에서 누름버튼스위치를 조작하여 화면의 ②번 전원을 통해서 대문에 설치된 개폐장치(=화면의 ③번)까지 정상작동(=화면의 ④번)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3) 비디오폰의 개폐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우선책이었지만, 차선책(=누름버튼스위치)으로도 기능구현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다행이었던 작업이었습니다.

4) 건물 내부 벽면에서 분기된 전원 케이블의 결손상태를 완벽하게 확인하려고 시간과 노력을 많이 기울였으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아있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공통공간 전기공사에 대한 출입통제 장치 설치작업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공통공간 전기공사에 대한 소요비용에 대한 집계를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11. 19.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