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 보일러 설치공사의 범위
1. 보일러(2층) 교체작업 : 기름 보일러→가스(LNG) 보일러
1) 기름보일러(화면의 ①번) 철거 및 가스 보일러 신규설치
2) 보일러 분배기(화면의 ②번, 분배기 밸브에서 누수발생) 교체
3) 보일러 후드(화면의 번) 교체
4) 연료(기름) 공급라인 교체
2. 기름 보일러 및 부대 설비 철거 작업
1) 2층 기름탱크(화면의 ①번) 철거 및 배출
2) 101호 기름보일러와 기름탱크(화면의 ②번)
3) 102호 기름보일러와 기름탱크 철거 및 배출
◈ 가스보일러 설치공사의 수행 및 완료
1. 보일러 교체작업 : 보일러실 바닥에 스탠드형으로 놓여있던 기름보일러를 치우고 벽걸이형(?) 가스 보일러(회면의 ①번)로 교체되었습니다. 기름 보일러에 비해서 슬림하기도 하고 벽에 설치가 되니 보일러실 공간이 넓어 보입니다.
2. 보일러 분배기(화면의 ②번) 교체작업 : 보일러실도 협소한데다, 기존 분배기의 설치 상태가 너무 엉망이라서 분배기 설치교체가 매우 힘든 작업이었습니다. 새로 설치하시던 분의 리얼했던 욕설(?)이 그 심한 정도를 대변하는 듯 했습니다...^^;;
3. 보일러 연도 교체작업 : 가스 보일러 특성에 맞게 흡기와 배기관 2개의 연도가 설치되었습니다. 화면의 ③번은 가스의 연소에 필수인 산소를 외부에서 흡입하여 보일러에 공급하기 위한 흡기관이고 연소를 끝난 공기를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됩니다.
4. 화면의 ④번은 가스 공급관이고 화면의 ⑤번은 가스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케이블, 화면의 ⑥번은 일산화탄소 감지기입니다. 이제야 요즘 시대에 흔하게 볼 수 있는 보일러실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 가스 보일러의 일반적인 기술정보
1. 화면의 ①번은 컨덴싱 보일러(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공기를 다시한번 재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한 보일러)로서, 연도(배기관)를 통해 배출되기 직전(화면의 ②번 위치)의 온도가 일반 보일러에 비해 낮습니다(너무나도 당연하겠죠...^^). 일반 보일러는 약 150℃이상인데 비해 컨덴싱 보일러는 60℃(보일러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정도로 배출합니다.
2. 그렇기에 겨울철에는 응축수(수증기 또는 백연이 물로 바뀌어서 발생)가 일반 보일러에 비해 컨덴싱 보일러가 훨씬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발생한 응축수를 화면의 ③번과 같이 외부로 기울여서 연도를 설치해줍니다.
3. 발생된 응축수가 연도를 타고 다시 보일러 측으로 내려와서 배수되고, 화면의 ④번과 같이 보일러실 배수구(필수장치입니다.)를 통해 배수되도록 해줍니다.
4. 만일 연도를 상향으로 기울여서 설치하지 않으면, 겨울철에 연도 끝부분에 고드름이 생겨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설치방식으로 인해 우기 시에는 연도를 타고 물이 내부로 들어오게되는 문제가 생기므로 방수처리를 신경써야 합니다.
5. 물론 일반 보일러는 응축수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하기 때문에 연도를 하향설치하면서 우기 시에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것입니다. 참고로 저는 보일러실을 넥사을 설치하여 내부 복도 형태로 변경했기 때문에 배수구를 막아버리고 화면의 ⑤번 처럼 배수호스를 길게 내어서 물통에 배수(3일에 한 번씩 물통을 비워야 하므로 조금 번거롭긴 합니다...^^;;)
6. 참고로 화면의 ⑥번은 일산화탄소 감지기입니다. 가스 보일러가 불완전연소를 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무색·무취의 유독성 가스인데, 인체에도 해로운 것도 문제이기도 하지만 가스 보일러의 연소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므로 이런 현상이 반복해서 발생할 경우에는 보일러 제조사를 통해 빨리 조처를 받아야 합니다.
◈ 보일러 설치공사 투입량
1. 인력투입
1) 기술자 : 2MD
-. 기존 보일러 및 부대설비 철거작업 및 배출 : 보조공 1MD(2인 x 0.5MD, 총 0.5일 소요)
-. 보일러 설치작업 : 기술공 1MD(1인 x 1일, 총 1일 소요)
2) 자체수행 : 없음
3) 보일러 정상가동 시험
4)‘친환경 저녹스 보일러’설치 지원 서류 작성 대행 및 대관청 제출업무 포함
2. 규격
1) 보일러 제조사 : 경동
2) 모델명 : NCB313-18k
3) 수량 : 1대(1층 101호와 102호는 설치 보류한 상태임.)
◈ 공사 계획 대비 수행 결과 비교
1. 공사비
1) 예산수립 당초 : 86만원(추가 설치비 포함)
2) 실제집행 : 60만원(인건비·재료비·경비를 모두 포함한 1식)
2. 업체선정
1) 웹사이트 검색을 통한 인근 지역업체 2개 중에서 최저가 업체로 선정
2) 판매와 설치업체는 별도로 구성되었음(판매업체에서 설치 기술자를 배정하여 설치완료)
3. 공사기간 : 총 1일 소요
◈ 공사비용 집계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보일러 설치 공사에 대한 공사과정과 소요비용 집계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당 공사비는 유사한 시기에 동일한 보일러(그것도 기존에 가스 보일러와 동일한 규격의 보일러였습니다.)를 아파트(공사여건도 좋고 부자재를 교체하지도 않음)에서 교체공사를 했을 때보다도 오히려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하게 되어, 아직도 제대로 산출된 비용이 맞는지 의구심이 남아 있습니다. 괜히 손해를 보시고 공사를 하신 거 아닌지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입니다.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지원금은 일반 주택(1층은 근린생활시설로 등록되어 있습니다.)에만 지원이 되어서 2층만 우선적으로 보일러를 설치하게 되었는데, 추후에 나머지 2대도 꼭 기회를 드려야 겠습니다.
이상으로 가스 보일러 설치 공사는 마무리하고 다음은 보일러실 내부공사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과정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7. 04....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보일러실 셀프 리모델링, [생활 터전 짓기 044. 단독주택 리모델링 보일러실 내부 공사 (2편)] (0) | 2022.07.06 |
---|---|
주택 복도 바닥 및 벽면 셀프 시공, [생활 터전 짓기 043. 단독주택 리모델링 보일러실 내부 공사 (1편)] (0) | 2022.07.05 |
주택 도시가스 인입 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41. 단독주택 리모델링 LNG 인입공사 (2편)] (0) | 2022.07.01 |
주택 도시가스 인입 공사 순서, [생활 터전 짓기 040. 단독주택 리모데링 LNG 인입공사 (1편)] (0) | 2022.06.30 |
넥산 설치 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39. 단독주택 리모델링 복도 차양막 공사 (4편)] (0) |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