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일러실 리모델링 공사의 개요
1. 보일러실의 내부(화면의 좌측 이미지)
1) 기존 보일러실은 화면의 ①번의 위치에 알루미늄 샤시로 외기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알루미늄 샤시로 설치된 내부의 바닥은 화면의 ②번과 같이 장판이 깔려져 있으면서, 주택의 내부였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화면의 ③번이 보일러실의 내부구조이며, 보일러실 내부 리모델링(매우 소형 리모델링입니다...^^)을 수행할 곳이 되겠습니다.
2. 보일러실의 외부(화면의 우측 이미지)
1) 화면의 ④번이 넥산(=렉산, 폴리카보네이트)을 설치하기 전에는 베란다 바닥이었지만, 설치 후에는 주택의 복도가 된 곳이며, 복도 바닥공사 대상이 되겠습니다. 베란다와 복도의 차이는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을 드린 바 있습니다.
2) 화면의 ⑤번은 복도의 벽면이 되면서 벽면 도색공사의 대상이 되겠습니다.
3. 위의 공사 중에서 금번 포스팅은 보일러실의 내부에 해당하는 보일러실 리모델링 공사에 대해 경험했던 사례를 기록하고자 합니다.
◈보일러실 리모델링 공사의 수행
1. 보일러실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 대상
1) 보일러실 크기 : 가로 1.5m x 세로(낮은 면) 1.2m, 세로(높은 면) 1.7m
2) 지붕(천정) 면 : 경사도가 있는 가로 1.5m x 세로 0.9m
2. 기존 보일러실 내부 상태
1) 보일러실의 천정에 해당하는 화면의 ①번은 보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된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어 심하게 부식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2) 콘크리트도 부식이 심해서 스폰지 처럼 부스러지고 살짝만 닿아도 먼지와 같이 아래로 흘러내릴 정도입니다. 어떤 식으로 보수를 해야할 지 많은 시간 동안 고심을 했던 곳입니다.
3) 화면의 ②번과 ③번 부분은 외기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벽면이고, 화면의 ④번 부분은 주택의 내벽과 맞닿는 부분이므로, 협소한 공간을 감안하여 부위별로 다른 단열방식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3. 보일러실 내부 리모델링 작업
1) 보일러실의 천정 부분(화면의 ①번)은 콘크리트 부식부분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었는데, 노출된 철근과 깨진 콘크리트 틈새 사이에 폼본드를 주입해주면서 탈락한 철근과 콘크리트를 서로 접착하게 해주었습니다. 생각보다 잘 붙어있게 되면서 만족스런 결과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2) 화면의 ②번 부분은 가스 보일러의 흡기관이 천정과 맞닿아 있는 상태였습니다. 보일러실 천정부분에 단열재와 마감재를 부착하기에는 턱없이 공간이 부족했습니다. 보편적으로 각재를 이용하여 구조를 만들고 그 위에 합판을 붙여서 평면을 확보하게 되는데, 그런 방법으로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 했기 때문입니다.
3) 고민하다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낸 것이 폼본드를 이용해서 합판을 콘크리트에 바로 붙이는 것이었습니다. 결과는 대만족(보일러실 천정 공간도 확보되었네요...^^)이었습니다.
4) 화면의 ③번과 ④번은 외기와 맞닿는 부분으로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비드법 2종 단열재(두께 50mm)를 부착했고, 화면의 ⑤번 부분은 내벽과 맞닿았으므로 두꺼운 단열재를 회피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이보드(두께 10mm)를 부착했습니다.
4. 보일러실 내부 마감작업
1) 보일러실의 천정 부분은 화면의 ①번과 같이 합판 위에 렉사판(=PVC 천정재)을 부착하여 최종 마감처리를 했습니다. 기대 이상으로 깔끔하게 완성되었습니다.
2) 화면의 ②번 부분은 렉사판용 코너비드입니다. 건축용 최종 마감재는 생각보다도 훨씬 다양한 종류의 마감재가 있고 그 마감재를 보조하는 목적의 부자재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건축용 자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개발될 것이고 우리에게 매우 유익하게 주어질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3) 화면의 ③번과 같이 단열재가 강화된 부위에 설치된 이보드(페인트용)는 흰색 페인트를 이용하여 도색하고 최종 마감했습니다.
4) 화면의 ④번 부분은 흡기관과 천정이 맞닿은 곳이고, 결국 완전하게 마감처리를 못했습니다. 하지만 크게 표시나지 않아서 다행이기도 했습니다.
5. 보일러실 외부 마감작업
1) 화면의 ①번과 ②번은 페인트용 이보드이고 검은색 페인트로 최종 마감처리했습니다. 잘 보이지는 않지만 ①번 부분은 거의 조각품을 만들 정도로 많은 작업이 들어갔던 곳입니다. 깔끔합니다.
2) 화면의 ③번 또한 이보드용 코너비드입니다. 마감재별 목적에 알맞은 코너비드 들이 많기도 했지만, 깔끔하게 마감처리를 도와주는 그저 신기하기만 했습니다...^^
3) 화면의 ④번은 보일러실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보일러실 전용 선반을 직접 제작하고 설치한 것입니다. 폐가구를 재활용했습니다.(환경을 보호하겠습니다...ㅋㅋ) 생활폐기물 분리배출을 위한 일시 저장장소로는 최고의 장소입니다.
4) 역시 리모델링의 끝판왕은 조명입니다. 나름대로 신경을 써서 구매하긴 했지만, 아무래도 호불호가 나뉠만한 모양의 조명(화면의 ⑤번)입니다. 저 위치는 역시 센서감지형 조명이 맞습니다.
◈ 보일러실 리모델링 공사 투입량
1. 인력투입
1) 기술자 : 투입없음
2) 자체수행 : 3MD(1인 x 3일 소요)
3) 총 소요기간 : 3일
가로 1.5m x 세로(낮은 면) 1.2m, 세로(높은 면) 1.7m
2) 지붕(천정) 면 : 경사도가 있는 가로 1.5m x 세로 0.9m
2. 자재 투입량
1) 합판 : 가로 1.5m x 세로 0.9m x 두께 5mm
2) 이보드 : 약 7㎡
3) 렉사판(=PVC 천정재) : 1.35㎡
4) 친환경 다용도 수성페인트 : 4리터 x 1통
5) 조명등 : 1개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보일러실 리모델링 공사에 대한 공사과정을 소개했습니다.
해당 공사는 부식이 심한 천정과 너무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단순하게 보이는 어떠한 작업도 사소하게 마무리 된 것이 없을 정도로 고난의 작업이었습니다. 하지만 거의 흉물에 가까울 정도였던 공간을 나름대로 깔끔하게 바꾼 것으로서 개인적으로 정말 자랑하고 싶은 공간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도 만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여건이 허락할 때는 페인트색을 검은색에서 좀 더 밝은색으로 바꾸어 주고 커튼을 설치해서 보다 멋스러운 공간으로 만들어 볼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2층 보일러실 리모델링 공사는 마무리하고 다음은 보일러실 개보수 공사의 비용집계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과정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7. 06....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천정 단열재 선정(외단열과 내단열의 차이), [생활 터전 짓기 046.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천정 보온 공사 (1편)] (0) | 2022.07.08 |
---|---|
주택 보일러실 리모델링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45. 단독주택 리모델링 보일러실 내부 공사 (3편)] (0) | 2022.07.07 |
주택 복도 바닥 및 벽면 셀프 시공, [생활 터전 짓기 043. 단독주택 리모델링 보일러실 내부 공사 (1편)] (0) | 2022.07.05 |
주택 가스 보일러 교체 비용, [생활 터전 짓기 042. 단독주택 리모델링 보일러 설치공사] (0) | 2022.07.04 |
주택 도시가스 인입 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41. 단독주택 리모델링 LNG 인입공사 (2편)]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