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 2층 외부 바닥공사 작업규모
1. 작업규모
1. 화면의 ①번은 현관문 앞에 있는 공간으로서 2층에 관점에서 보면 일종의 앞마당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여기는 주택 내부를 제외하고는 가장 빈번하게 이동(=이용)하거나, 오랜 시간을 머무(=생활)는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2. 주택 2층의 바닥은 화면의 ①번 위치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현관 앞에 시작하여 화면의 ②번과 같이 이어지는 베란다에 해당하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3. 화면의 ③번 부분의 바닥면적 약 6.72㎡이고, 이어서 화면의 ④번은 0.75m(=베란다 폭)이며 화면의 ⑤번(=베란다 길이)이 약 4.8m이므로 면적이 약 3.6㎡ 정도 됩니다.
4. 그러므로 주택 2층 바닥의 총 작업규모는 약 10.32㎡(=3.13평)의 면적이 작업면적에 해당됩니다.
◈ 2층 외부 바닥공사 작업절차 및 포스팅 계획
1. 작업절차 : ①벽면(=모서리) 방수작업→②벽면 도색(=페인트칠)작업→③바닥면 방수(=우레탄)작업→④타일작업(바닥 프라이머 작업→타일 접착제 작업→타일부착 작업→타일 줄눈 작업)의 순서로 작업을 시행합니다.
2. 하지만 게시글은 각 세부 공종별(=벽면 방수작업·벽면 도색작업·바닥 방수작업·바닥 타일작업)로 분리하여 4편으로 작성할 계획입니다. 그러므로 금회는 ①벽면 방수작업을 포스팅하고 다음 게시글에서 나머지 공종(=②벽면 도색작업→③바닥 방수작업→④타일작업)별로 시공과정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3. 셀프시공의 특성으로 인해 실패사례를 언급하면서 시공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두는 것이 좋을 듯하여, 부득이 게시글을 좀 나누어서 기록하게 되었습니다.(여러 개의 세부 공종을 다루게 되면 너무 글이 길어지고 1개의 세부공종만 다루게 되면 내용이 빈약해질 것 같아서 고민을 좀 했습니다만 내용이 지루한 것이 더 나쁠 듯하여...^^;;)
◈ 2층 외부 바닥공사 셀프시공 과정
1. 벽면(=벽 모서리면+벽면) 방수작업
1.1 부틸방수 테이프 작업
1) 화면의 ①번 위치는 2층 베란다에서 1층으로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PVC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옥상과 2층으로 유입된 빗물이 1층으로 신속히 배수되어야 하지만, 일부 잔여빗물이 고여있으면서(=저장에 가까웠습니다...^^;;) 1층 천정의 누수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2) 벽의 모서리면(=화면의 ②번 위치)에는 부틸방수 테이프(=화면의 ③번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면의 ④번(=벽 모서리 면의 부틸방수 테이프 시공 사례)의 사례와 같이 방수작업(=일종의 테이핑 작업...^^)을 해주었습니다.
3) 부틸방수 테이프를 부착하고 나면 별도의 마감작업 계획이 없기 때문에, 부틸방수 테이프 자국이 그대로 남게 됩니다. 별도의 마감계획이 없으므로 화면의 ⑤번과 같이 테이프 끝선(=저는 레이저 레벨기를 이용하여 끝선을 참조했습니다.)을 균일하게 하여 최소한의 미관성(?) 정도라도 유지하려 했습니다.(=효과는 그렇게 크지 않았던 듯합니다...^^;;)
4) 화면의 ⑥번과 ⑦번이 부틸방수 테이프의 아래쪽과 위쪽의 끝선입니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잘 보이지는 않아서 그렇게 흉물스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1.2 벽면 크렉 보수 작업
1) 벽 모서리면에 물이 고여있어도 누수의 원인이 되지만, 벽면 자체에 크렉으로 인한 누수도 못지 않게 건물에 영향이 적지 않습니다. 누수는 아무리 사소하게 보이는 원인자라도 결코 간과하고 넘어가면 않됩니다.(=특히 노후주택일 수록 말이죠...^^)
2) 아래의 화면 이미지는 벽면 크렉 보수작업에 사용되는 필수 작업도구입니다. 벽면 V-컷팅(=홈을 좀 더 넓게 파주어야 합니다.)을 위해 필요한 원형절단기부터, 실리콘(=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과 실리콘 건·실리콘 헤라·실리콘 스크래퍼 등이 있습니다.
3) 아래의 화면은 벽면 크렉을 보수하고 난 후의 작업결과 이미지입니다.
-. 화면의 ①번은 벽면을 V-컷팅하고 실리콘으로 밀어넣고 페인트칠까지 완료한 상태입니다.(=작업 전에 촬영을 해두지 않았네요...^^;;) 벽면에서 크렉이 가장 심한 곳이었으며, 비가 며칠 동안 지속해서 내리는 경우에는 1층 천정까지 타고 내려갈 수도 있었을 듯 합니다.
-. 화면의 ②번도 ①번의 경우에 못지않게 크렉이 심했던 곳이며, 화면의 ③번은 그 당시에는 그렇게 심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었는데, 거의 2년 정도 지난 지금은 점점 심화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조만간에 크렉 보수작업을 시행해야 할 듯합니다.
2. 벽면 도색작업 : 다음 게시글(셀프시공 과정 2편)로 포스팅하겠습니다.
3. 바닥 방수작업 : 다음 게시글(셀프시공 과정 3편)로 포스팅하겠습니다.
4. 바닥 타일작업 : 다음 게시글(셀프시공 과정 4면)로 포스팅하겠습니다.
◈ 주택 2층 바닥공사 투입량_벽면 방수작업
1. 인력투입
1) 기술자 : 해당사항 없음
2) 자체수행 : 1MD(1인 x 1일)
3) 총 소요기간 : 1일
2. 자재 투입량
1) 공구(=원형 절단기) : 신규 구매 없음(=기존 보유 중인 공구를 활용했습니다.)
2) 실리콘 건 : 신규 구매 없음(=기존 보유 중인 공구를 활용했습니다.)
3) 실리콘 헤라 : 1개
4) 실리콘 : 1통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주택 2층 외부바닥 면에 대한 셀프시공 과정 중에서 벽면 방수작업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주택 2층 외부바닥 공사의 셀프시공 과정에서 벽면 도색작업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8. 24....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