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 2층 폐기물 발생 대상물
1. 해당 리모델링 공사 간에 2층 내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폐기물은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이 발생합니다.
2. 기존(=리모델링 공사 이전) 거실과 부엌의 바닥·벽·천정 면에 부착되어 있는 강마루 판넬(=화면의 ①, ②번)은 낡고 기능이 떨어진 상태라서 제거하고, 또한 부엌의 씽크대(=화면의 ③번)는 전체를 교체하기로 하여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3. 방(=큰방, 작은방1, 작은방2)내부 바닥(=화면의 ④번)은 장판으로 깔려져 있어서 교체하고, 벽면(=화면의 ⑤번)은 벽지를 수 차례 덮으며 시공되어 있었으며, 천정 면은 합판 위에 벽지가 시공되어 있어서 장판·벽지·합판이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4. 또한 화면의 ⑥번과 같은 각종 방과 화장실 등의 출입문과 화면의 ⑦번과 같이 화장실 천정면 철거로 인한 폐콘크리트 그리고 화면의 ⑧번 등과 같은 각종 부착물 및 화면의 ⑨번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의 창틀 등이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 가연성 폐기물의 발생량
1.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강마루), ②번(목재 문짝), ③번(목재 창문), ④번(폐장판), ⑤번(폐벽지),⑥번(목재 창틀), ⑦번(합판), ⑧번(각목) 들은 모두 가연성 폐기물에 해당됩니다. ⑦과 ⑧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 그대로의 재활용은 불가능합니다.
2. 가연성(=불에 타는 성질) 폐기물은 폐기물 운반업체를 통해 소각시설로 운반되어 소각처리 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스팀을 생산하여 인근 공장에 판매를 하거나 발전을 하여 소내에서 사용하거나 한국전력에 판매를 하는 구조로 처리 및 재활용되어 집니다.
3. 리모델링 공사 간에는 일반 생활폐기물과 같이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분리수거용 봉투에 넣고서 배출할 수가 없기 때문에 폐기물 운반차량을 통해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4. 가연성 폐기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비중(=물 대비 중량)이 물보다 낮기 때문에 폐기물 운반차량(=소규모 리모델링 공사에는 1톤 트럭이 배차됩니다.)에 부피를 줄여서 적재량을 늘리는 것이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비결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5. 참고로 해당 가연성 폐기물의 겉보기 비중은 대략 0.15톤/㎥(=물의 20% 중량 정도)가 되고, 1톤 트럭에 약 6.67㎥ 정도로 쌓아야 합리적으로 비용을 부담하시는 거라 보시면 됩니다. 대략 트럭 적재함 바닥에서 약 1.5m 높이로 쌓으시면 합리적인 비용부담이 될 듯 합니다.
◈ 가연성 폐기물의 발생량
1. 화면의 ①번은 옥상에 있던 폐저수조 외곽을 부수어서 발생했고, ②번은 화장실 천정과 벽면 일부를 부수어서 발생했으며, ③번은 거실 정면에 있던 문틀과 창틀 경계석으로 있던 벽면을 부수어서 발생, ④번은 화장실 내부에 단이 져있던 것을 부수어서 발생, ⑤번과 ⑥번은 씽크대 벽면에 붙어 있던 타일을 부수어서 발생한 건설 폐기물입니다.
2. 건설 폐기물은 폐기물 운반업체를 통해 폐기물 매립시설로 운반되어 땅에 매립하여 최종 처리되는 구조입니다. 건설 폐기물은 발생량이 곧 귀한 땅을 잡아먹는(=못 쓰게 만드는) 것과 같은 이치이므로 발생량을 줄이거나 현장에서 재활용 등을 통해 배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3. 리모델링 공사 간에 발생한 건설 폐기물의 양이 소량일 경우에는 건설 폐기물 수거용 포대에 넣고 배출할 수 있으나, 그런 씩으로 배출하기에는 적지 않은 양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역시 폐기물 운반차량을 통해 배출할 수 밖에 없습니다.
4. 건설 폐기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비중(=물 대비 중량)이 물보다 높기 때문에 폐기물 운반차량(=소규모 리모델링 공사에는 1톤 트럭이 배차됩니다.)에 부피보다는 무게로 폐기물 처리비용을 합의하게 됩니다.
5. 참고로 해당 건설 폐기물의 겉보기 비중은 대략 1.5톤/㎥(=물의 150% 중량 정도)가 되고, 1톤 트럭에 약 0.67㎥ 정도로 쌓아야 합리적으로 비용을 부담하시는 거라 보시면 됩니다. 대략 트럭 적재함 바닥에서 약 0.36m(=적재함 칸막이 높이) 높이로 쌓으시면 합리적인 비용부담이 될 듯 합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주택 2층의 폐기물 발생 대상물과 그와 관련된 산출방식에 대한 정리내용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주택 2층 발생의 폐기물에 관한 재활용 과정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8. 31....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