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 2층 폐기물 발생 대상물
1. 해당 리모델링 공사 간에 2층 내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폐기물은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이 발생합니다.
2. 기존(=리모델링 공사 이전) 거실과 부엌의 바닥·벽·천정 면에 부착되어 있는 강마루 판넬(=화면의 ①, ②번)은 낡고 기능이 떨어진 상태라서 제거하고, 또한 부엌의 씽크대(=화면의 ③번)는 전체를 교체하기로 하여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3. 방(=큰방, 작은방1, 작은방2)내부 바닥(=화면의 ④번)은 장판으로 깔려져 있어서 교체하고, 벽면(=화면의 ⑤번)은 벽지를 수 차례 덮으며 시공되어 있었으며, 천정 면은 합판 위에 벽지가 시공되어 있어서 장판·벽지·합판이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4. 또한 화면의 ⑥번과 같은 각종 방과 화장실 등의 출입문과 화면의 ⑦번과 같이 화장실 천정면 철거로 인한 폐콘크리트 그리고 화면의 ⑧번 등과 같은 각종 부착물 및 화면의 ⑨번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의 창틀 등이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 가연성 폐기물의 배출방법
1. 발생원별 재활용성 파악 :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강마루), ②번(목재 문짝), ③번(목재 창문), ④번(폐장판), ⑤번(폐벽지),⑥번(목재 창틀), ⑦번(합판), ⑧번(각목) 들은 모두 가연성 폐기물에 해당됩니다. ⑦과 ⑧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 그대로의 재활용은 불가능합니다.
2. 가연성 폐기물의 배출방법
1) 앞선 포스팅에서도 언급을 드렸지만, 가연성 폐기물은 부피를 줄여서 폐기물 운반차량에 적재하는 것이 합리적인 비용부담의 근본 원리입니다.
2) 벗겨낸 벽지와 부착 폐기물 그리고 철거 과정에서 잘게 부수어진 폐기물 들은 무게에 비해 부피가 큰 폐기물에 해당되므로 마대(=일반 포대로서 철물점에서 판매를 합니다.)에 눌러 담아서 배출(=화면의 ①번)해야 합니다.
3) 화면의 ②번과 같이 문짝은 그대로 배출하여 트럭 사이드 가드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타 문틀이나 창틀, 장판 그리고 강마루 판넬 등과 같이 길다란 모양의 폐기물들은 끈을 이용해서 적정량을 함께 묶어서 배출(화면의 ③번)하게 되면 이동과 적재가 편리합니다.
4) 유리가 끼워진 창문은 화면의 ④번과 같이 잘게 부수어서 마대에 담아서 배출(=적재 관점보다는 안전의 관점에서 필요합니다.)해야 하며, 알루미늄 샤시(=화면의 ⑤번)은 고철로 판매가 가능하므로 운반차량에 초과하여 적재를 해도 문제를 삼지 않습니다.
◈ 건설 폐기물의 배출방법
1. 발생원별 재활용성 파악
1) 옥상의 폐저수조 외곽 철거에서 발생한 화면의 ①번과 2층 화장실 천정 철거에서 발생한 화면의 ②번 그리고 거실 정면에 있던 문틀과 창틀 경계석으로 있던 벽면을 부수어서 발생한 화면의 ③번은 재활용하여 활용했습니다.
2) 화면의 ④번은 화장실 내부에 단이 져있던 것을 부수어서 발생했고 화면의 ⑤번과 ⑥번은 씽크대 벽면에 붙어 있던 타일을 부수어서 발생한 폐기물인데 재활용하기엔 적절하지 않아서 폐기물 차량을 통해서 배출이 불가피했습니다.
2. 건설 폐기물의 배출방법
1) 건설 폐기물은 모두 일반 마대에 담아서 배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건설 폐기물은 겉보기 비중(=물의 1.5배 이상)이 높으므로 마대에 담는 양을 많이 담게 되면 폐기물 운반차량에 적재하는 과정부터 매립지에 매립하는 모든 과정에 관여된 사람들이 고생(=고통에 가깝습니다...^^;;)을 하게 되므로 한사람이 들어 올리는데 무리가 없을 정도로 담아야 합니다.
2) 위의 화면 ①번과 같이 흙먼지가 섞인 폐콘크리트의 경우에 특히 무게 조절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②번(페인트나 시멘트 등을 담았던 통), ③(건설 폐기물과 가연성 폐기물이 혼합된 폐기물)번과 같은 경우에는 무게에 민감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3) 화면의 ④번과 같이 대형 타일의 경우에는 잘게 부수어서 마대에 담는 것이 유리하며, 이런 경우에는 날카로움이 유리보다는 덜하긴 하겠지만 안전을 위해 깨진 부위를 뭉텅하게 부수어서 마대에 담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4) 화면의 ①번과 같이 당 공사에 배차된 폐기물 운반차량은 1톤 트럭이었으며, 화면의 ②번 처럼 적재를 했는데, 이번 회차의 배출인 경우는 주로 가연성 폐기물이 대부분이었으며, 화면의 ③번과 같이 문짝을 트럭 사이드의 가드로 활용하여 적재량을 증대시킨 상황이 되겠습니다.
3. 폐기물 운반차량을 통한 폐기물 배출 회수 : 주택 2층의 거실은 바닥과 벽면 그리고 천정면이 모두 강마루 판넬로 부착되어 있고 벽지로 부착된 방3개로 구성된 실 평수 18평의 단독주택에서 배출된 폐기물은 1톤 트럭의 규격을 갖춘 폐기물 운반차량에 총 4회분의 배출이 필요했습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주택 2층(=옥상 저수조 포함) 리모델링 과정에서 발생한 건설 폐기물의 배출방법에 대한 경험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주택 2층 발생의 폐기물에 관한 처리 과정에 소요된 비용에 대한 집계를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9. 02....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