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리모델링 중에 발생하는 폐기물_가연물과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방법, [생활 터전 짓기 082. 단독주택 리모델링 2층 폐기물 처리(2편)]

반응형

 

◈ 주택 2층 폐기물 발생 대상물

1. 해당 리모델링 공사 간에 2층 내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폐기물은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이 발생합니다.

2. 기존(=리모델링 공사 이전) 거실과 부엌의 바닥·벽·천정 면에 부착되어 있는 강마루 판넬(=화면의 ①, ②번)은 낡고 기능이 떨어진 상태라서 제거하고, 또한 부엌의 씽크대(=화면의 ③번)는 전체를 교체하기로 하여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3. 방(=큰방, 작은방1, 작은방2)내부 바닥(=화면의 ④번)은 장판으로 깔려져 있어서 교체하고, 벽면(=화면의 ⑤번)은 벽지를 수 차례 덮으며 시공되어 있었으며, 천정 면은 합판 위에 벽지가 시공되어 있어서 장판·벽지·합판이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4. 또한 화면의 ⑥번과 같은 각종 방과 화장실 등의 출입문과 화면의 ⑦번과 같이 화장실 천정면 철거로 인한 폐콘크리트 그리고 화면의 ⑧번 등과 같은 각종 부착물 및 화면의 ⑨번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의 창틀 등이 폐기물 발생 대상이 됩니다.

 

◈ 가연성 폐기물의 재활용 방안

1. 발생원별 재활용성 파악 : 화면에서 보이는 ①번(=강마루), ②번(목재 문짝), ③번(목재 창문), ④번(폐장판), ⑤번(폐벽지),⑥번(목재 창틀), ⑦번(합판), ⑧번(각목) 들은 모두 가연성 폐기물에 해당됩니다. ⑦과 ⑧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 그대로의 재활용은 불가능합니다.

 

2. 가연성 폐기물의 재활용

1) 화면에서 보이는 합판(=화면의 ①번)은 화면 ③번의 각재 위에 덮혀서 거실의 바닥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아래와 위로 보호를 받아서 인지 상태가 매우 양호했습니다.

2) 합판의 규격은 1120mm x 2440mm x 11.5mm이었고, 총 6장이 발생했습니다. 워낙 강도가 유지된 상태라서 현관 위의 지붕 바탕면과 옥상에 새로 만든 수돗가 보온용 뚜껑, 그리고 상수도 계량기 보온용 뚜껑으로 지금까지도 잘활용하고 있습니다.

3) 하지만, 활용했던 합판은 겨우 1장에 불과했고, 다른 활용방법을 찾지 못하여 화면의 ②번과 같이 바람막이용으로 사용하다가, 나머지 5장은 결국 폐기물 차량으로 배출하게 되었습니다.

4) 화면의 ③번과 같은 각재는 외기와 수분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어서 인지 원형이 다소 잘 보존된 경우에 해당했으나 이 역시 일부만 화면의 ④번과 같이 사다리(=아무리 많아도 지나치지 않습니다...^^)를 만들어 사용했고, 거의 대부분은 폐기물 차량으로 배출하게 되었습니다.

5) 가연성 폐기물은 용도에 부합하지 않으면 쓰임새가 거의 없어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여러모로 아깝기도 하고 아쉽기도 했습니다.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방안

1. 발생원별 재활용성 파악

1) 옥상의 폐저수조 외곽 철거에서 발생한 화면의 ①번과 2층 화장실 천정 철거에서 발생한 화면의 ②번 그리고 거실 정면에 있던 문틀과 창틀 경계석으로 있던 벽면을 부수어서 발생한 화면의 ③번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류했습니다.

2) 화면의 ④번은 화장실 내부에 단이 져있던 것을 부수어서 발생했고 화면의 ⑤번과 ⑥번은 씽크대 벽면에 붙어 있던 타일을 부수어서 발생한 폐기물인데 재활용하기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했습니다.

 

2.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1) 옥상의 폐저수조를 둘러싸고 있던 시멘트 블록(=화면의 ①번)은 화면의 ②번과 같이 잘게 부수어서 2층 거실 바닥 충진용(=화면의 ④번)으로 재활용하게 되었습니다.

2) 화면의 ③번과 같이 화장실 천정 철거 과정에서 발생한 건설폐기물 또한 화면의 ④번에 충진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3) 화면의 ⑤번은 방통공사 이후에 발생한 건설 폐기물이며, 조적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건설 폐기물(=제가 완전 초보자 실력으로 조적을 하다 보니 쌓은 벽돌을 여러 차례 무너뜨리고 다시 쌓길 반복한 경우가 많습니다...^^;;)과 함께 다른 재활용할 방안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3) 방통공사 이후로 특별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공종이 없었기 때문에 화면의 ⑤와 ⑥번 처럼 포대에 담아서 일시적으로 보관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이렇게 담아서 보관을 하다보니 공사를 하러 오신 분들이 쓰레기 하적으로 오해하고서 온갖 쓰레기들이 쌓이더군요...^^;;)

4) 이렇게 쌓아둔 건설 폐기물들을 화단정비 공사에서 재활용하게 되었는데, 화면의 ⑦번 처럼 화단의 바탕면 충진용으로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화면의 ⑧번이 기존(=리모델링 이전) 화단의 경계선이었는데, 새롭게 단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3. 재활용 효과 : 해당 건설 폐기물은 1톤 폐기물 운반차량 2회분 이상의 분량이며, 2층 거실의 방통공사용으로 필요한 몰탈 대체 효과 및 화단 바닥 충진용 대체 효과까지 감안한다면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큰 성공사례라 할 수 있겠습니다.(=국토 오염을 줄여준 효과도 있습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주택 2층(=옥상 저수조 포함) 리모델링 과정에서 발생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경험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주택 2층 발생의 폐기물에 관한 처리(=배출) 과정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9. 01....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