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노후 상가 건물 셀프 인테리어 공사_천정공사 시공과정, [생활 터전 짓기 091. 단독주택 리모델링 1층 천정공사 1편]

반응형

 

◈ 상가 1층 인테리어의 천정공사 개요

1. 작업범위

1) 상가 1층의 내부 천정공사는 화면에서 보이는 점선으로 구획된 구간에 대한 천정공사입니다.

2) 상가 1층은 매장(=화면의 ①번)과 사무실(=화면의 ②), 휴게실(=화면의 ③번), 다목적실(=화면의 ④번)이고 각각 2개소로 건축되어 있습니다.

3) 각 2개소는 동일한 구조와 크기로 건축되어 있으나, 세월이 지남에 따라 매장 부분의 천정은 각개 다른 방법으로 마감처리가 되어있는 상태였습니다.

4) 호실의 구분은 위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101호이고 우측은 102호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2. 내부 천정공사 작업규모 : 67.43㎡(=1개소 당 33.72㎡)

1) 매 장 #1, #2 : 26.60㎡, (3.80m x 3.50m=13.30㎡) x 2개소

2) 사 무 실 #1, #2 : 19.25㎡, (2.75m x 3.50m= 9.63㎡) x 2개소

3) 휴 게 실 #1, #2 : 15.40㎡, (2.20m x 3.50m= 7.70㎡) x 2개소

4) 다목적실 #1, #2 : 6.18㎡, (1.35m x 2.29m= 3.09㎡) x 2개소

 

◈ 내부 천정공사의 계획

1. 매장(=화면의 ①번) 각 2개소 : 101호는 ‘구조목(=각재, 다루끼)+합판+페인트용 이보드+도색(=백색)’으로 최종 마감계획이고 102호는 ‘신규 구조목+렉사판(=PVC 천정재)’으로 최종 마감계획입니다.

2. 사무실(=화면의 ②번)과 휴게실(=화면의 ③번) 각 2개소 : 101호와 102호 모두 ‘기존 구조목+합판(=필요시에 구조목 보강작업 선행)+페인트용 이보드+도색(=백색)’으로 최종 마감할 계획입니다.

3. 다목적실(=화면의 ④번) 각 2개소 : 101호는 ‘신규 구조목+합판+이보드+페인트’로 최종 마감으로 하고, 102호는 ‘신규 구조목+렉사판(=PVC 천정재)’으로 최종 마감계획입니다.

4. 101호와 102호의 매장과 다목적실의 천정재가 다른 이유는 101호의 인테리어 공사를 마무리하고 약 2개월 정도의 시간차이를 두고 102호를 시공했기 때문에 계획의 일부 변동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 내부 천정공사의 시공

1. 매장 #1(=101호), #2(=102호)의 시공

1) 101호 매장(=화면의 ①번) 천정의 최종 마감상태가 화면의 ②번입니다. 101호는 구조목의 보강작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상태가 양호했으며, 102호 매장(=화면의 ②번)은 천정면이 콘크리트 노출면으로 인해 별도로 천정체를 만들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2) 101호는 합판(=규격 : 1220mm x 2440mm x 4.8mm)을 부착한 후에 이보드(=규격 900mm x 120mm x 13mm 페인트용)를 부착하고 페인트칠(백색 3회 도색)을 하고 마감(=화면의 ②번)했습니다.

3) 102호는 구조목으로 천정구조(=화면의 ④번 처럼 콘크리트 천정 바탕면과 세로목재를 만들어 주고 화면의 ⑤번 처럼 합판이 부착되는 구조)를 만들어 주고 렉사판(=화면의 ⑥번, PVC 천정재)을 부착하여 최종 마감작업을 했습니다.

4) 해당되는 매장의 천정작업은 셀프시공 실패사례로 남아 있는 아쉬운 작업입니다.(=화면의 ⑦번 처럼 몰딩이 휘어져 보이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닙니다. 간단한 조처로 해결이 가능합니다만...제가 게을러서 그대로 두고 있습니다...^^;;) 실패사례는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내용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2. 사무실과 휴게실 #1(=101호), #2(=102호)의 시공

1) 사무실과 휴게실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었고 구조목에 부착되어 있던 각재는 문제없었으나, 합판은 기능성이 급격하게 떨어져 있어서 교체작업을 수행했습니다.

2) 사례예시 화면의 ①번과 같이 신규로 부착할 합판(=규격 : 1220mm x 2440mm x 4.8mm)이 고정될 위치에 각재가 없다면 화면의 ②번처럼 보강(=구조보강작업)재를 새롭게 부착해주어야 합니다.

3) 사무실과 휴게실의 101호와 102호 모두 합판을 부착한 후에 이보드(=규격 900mm x 120mm x 13mm 페인트용)를 부착하고 페인트칠(백색 3회 도색)을 하고 마감했습니다.

4) 101호와 102호 모두 면적도 좁고 형태도 사각구조라서 작업의 난이도는 매우 낮았던 공사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3. 다목적실 #1(=101호), #2(=102호)의 시공

1) 다목적실은 101호(=화면의 ①번)와 102호(=화면의 ②번) 모두 노출 콘크리트 바탕면 구조로 되어 있어서 천정공사는 매장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되어 있었습니다.

2) 다목적실의 천정은 101호와 102호 모두 구조목으로 천정구조(=화면의 ③번 처럼 콘크리트 천정 바탕면과 세로목재를 만들어 주고 화면의 ④번 처럼 합판이 부착되는 구조)를 만들어 주고 각재로 구조체를 만든 후에 합판을 부착했습니다.

3) 101호는 합판을 부착한 곳에 이보드(=규격 900mm x 120mm x 13mm 페인트용)를 부착하고 페인트칠(백색 3회 도색)을 하고 마감(=화면의 ⑤번)했고 102호는 렉사판(=화면의 ⑥번, PVC 천정재)을 부착하여 최종 마감작업을 했습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상가 1층 내부 천정 공사에 대한 시공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다음은 내부 천정공사에 사용된 원부자재 들을 정리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9. 15. ....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