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사준비_비계설치
1. 비계의 개요
1) 정의 :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
2) 용도 : 자재 운반이나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을 위한 발판 역할
3) 분류
-. 재료별 : 통나무·파이프 비계
-. 용도별 : 외부·내부·수평·달·간이·사다리 비계
-. 공법별 : 외줄·겹·쌍줄비계 등으로 나뉨
2. 비계설치 : 비계를 설치하기 전에는 옆집에 설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1) 파이프 비계(화면의 ①번) 설치
2) 비계발판(화면의 ②번) 설치
3) 공간이 협소하여 부득이 하게 비계가 건물 경계(화면의 ③번 위치)를 넘어가게 되었는데, 옆집과 충분한 협의가 되지 않으면 자칫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4) 안전망(화면의 ④번) 설치
3. 비계 설치기간 및 비용
1) 설치주체 : 드라이비트 시공업체에 묶어서 발주했습니다.(외벽공사 외에는 비계가 필요없었습니다.)
2) 설치기간 : 1개월(최소 사용기간이 1개월임)
3) 예상비용 : 당 공사규모 기준으로 약 210만원 정도 소요됩니다.
◈ 드라이비트 공사수행
1. 단열재 부착 : 건물 전면및 측면부(1~2층 전체)
1) 건물 전면부에 화면의 ①번과 같이 단열재(비드법 1종3호 두깨 50mm)를 시공합니다.
2) 화면의 ②번은 내부와 맞닿지 않는 부위이므로 시공이 제외됩니다.
3) 화면의 ③번은 시멘트인데, 놀라울 정도로 많은 양의 시멘트가 사용되었습니다.
4) 시공업체 대표께 계약 전부터 시작해서 공사 도중에서도 접착본드를 많이 사용해서 단열재 들뜸으로 인한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차례 부탁을 했었습니다.
2. 단열재 부착 : 건물 후면부(2층)
1) 화면의 ①번과 건물 후면부 2층에도 단열재를 부착했습니다.(기술자분의 자부심이 대단하셔서 단열재 접착강도를 한번 확인해보라고 하더군요. 밟고 뛰어도 떨어지지 않을 거라고 합니다. 갑자기 믿음 게이지가 확 올라갔습니다...ㅋㅋㅋ)
2) 드라이비트는 마감부위가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으므로, 화면의 ②번과 같이 코너 부분에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코너 보강재(=코너매쉬)를 부착해야 합니다.
3) 화면의 ③번 위치는 건물 후면부의 1층인데, 여기에는 유리 섬유망(=드라이비트 메쉬망)을 부착한 모습입니다.
3. 드라이비트 메쉬망 부착 : 건물 후면부(2층)
1) 건물 후면부 2층에도 화면의 ①번과 같이 드라이비트 메쉬망 부착작업이 시행되었습니다. 코너에 코너메쉬도 부착되었습니다.
2) 드라이비트 공사범위에 지붕면(화면의 ②번 부분)을 경계로 해서 벽면에만 시공이 되는 조건이었으므로 해당 부분은 드라이비트 시공이 되지 않습니다. 저 경계부위로 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방지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3) 건물 후면부 1층(화면의 ③번)은 드라이비트 메쉬망이 굳어서 시멘트 벽면처럼 보이기 시작하네요.
4. 건물 후면부 마감재 시공
1) 마감재 성분 : 아크릴 수지 + 특수 규사 + 각종 첨가제의 혼합제
2) 화면의 ①번 및 ②번과 같이 마감재를 쇠 흙손을 이용하여 모두 발라주었습니다. 밝은 회색빛을 띠는 색상이 처음에는 좋아보였으나, 시간이 갈 수록 시멘트 벽면 색상이 되면서 빈티지 색상으로만 만족해야 했습니다. 그래도 단순한 회색이므로 쉽게 질리지는 않을 듯 합니다.
3) 드라이비트 공사는 영하 5℃ 이하에서 시공을 하게되면 접착력이 떨어져서 자칫 하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시 외기온도는 햇볕이 없는 곳에서는 얼음(화면의 ③번 위치)이 녹지 않은 겨울철이었습니다. 남부지방의 낮 온도는 영상권이 대부분이라서 따뜻한 기온일 때에 공사를 강행하긴 했으나, 지금도 하자가 발생하지 않기를 조마조마하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4. 건물 전면부 마감재 시공
1) 단조로움이 깔끔한 외관을 유지하는 비결이므로 외벽색상은 모두 밝은 회색을 선정하되, 포인트가 될 부분(화면의 ①번 부위)에만 어두운 색상으로 선정했습니다. 지금까지도 무난하고 깔끔합니다...^^
2) 화면의 ②번과 같이 시공범위에서 제외된 부분은 외부도색을 통해 별도로 마감해야 합니다.
3) 외벽공사(드라이비트 공사)는 접착과 건조하는 시간 그리고 기온 등의 영향으로 인해 공정 간에 공백시간이 많아서 공사기간이 좀 길었습니다. 외벽공사 기간 중에 LNG인입공사를 끝내게 되어서 화면의 ③번과 같이 LNG 외부배관이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 기타공사 : 비계가 철거되기 전에 2층 외벽에 노출된 창틀에 방수를 목적으로 실리콘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이 작업은 비계가 없다면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 맺음말
이상과 같이 건물 외벽공사에 대한 공사과정 소개했습니다.
외벽공사는 3개의 업체에게 복수견적을 받아서 업체를 결정했었는데, 3개 업체의 견적금액은 대략 30% 내외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 정도면 공사비는 거의 정확하게 시장가격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최소 금액을 제시한 업체에 공사를 의뢰했음에도 매우 성실하고 꼼꼼하게 작업을 수행해주셔서 감사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외벽공사에 대한 수행과정에 대해서는 마무리하고 다음은 외벽공사 소요비용 집계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내용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6. 22....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준비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넥산 설치 준비작업, [생활 터전 짓기 036. 단독주택 리모델링 복도 차양막 공사 (1편)] (0) | 2022.06.24 |
---|---|
외벽 드라이비트 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35. 단독주택 리모델링 외벽공사 (3편)] (0) | 2022.06.23 |
외벽 드라이비트 공사 시공범위, [생활 터전 짓기 033. 단독주택 리모델링 외벽공사 (1편)] (0) | 2022.06.21 |
씽크대 타일공사 시공범위 및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32. 단독주택리모델링] (0) | 2022.06.20 |
욕실내부 리모델링 (5편)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31. 단독주택 리모델링]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