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활동

주택 방통 공사 소요비용, [생활 터전 짓기 011. 단독주택 리모델링 방통공사 (3편) 공사 소요비용 집계]

반응형

 

◈ 방통공사의 작업범위

1. 공사수행 면적 : 약 26㎡(약 8평)

1) 거실 및 부엌 : 모두

2) 큰방(5%), 작은방1(10%), 작은방2(0%), 화장실(0%)

 

2. 소요량

1) 공사기간 : 2일(준비 0.5일, 작업 1일, 후처리 0.5일)

2) 투입인력(공)수 : 5.5MD

3) 재료 및 경비 : 시멘트+모래, 사다리차 2회(2시간 x 2회)

 

3. 공사방법

1) 통상적 절차 : 사모래 작업→콘크리트 타설작업→1차 미장공사→엑셀파이프(단열재 포함) 설치→2차 미장공사→바닥평면작업

2) 수행절차 : 모래작업(1차)→엑셀파이프(단열재 포함) 설치→기존 엑셀파이프와 연결→사모래 작업(2차)→바닥 평탄화 작업→최종 미장공사

 

◈ 방통공사(2층)_Before Vs. After

 

◈ 공사 계획 대비 수행 결과 비교

1. 공사비

1) 예산수립 당초 : 400만원

-. 인건비 330만원 : 미장공 4MD(160만원) + 보조공 4MD(80만원)

-. 재료비 70만원 : 레미콘 한차 6㎥(50만원), 엑셀파이프 등(20만원)

2) 실제집행 : 200만원

-. Full 외주처리(전문업체에 맡김) : 인력 5.5MD

-. 재료비+경비 : 시멘트+모래, 엑셀파이프+단열재 등, 사다리차 2회(재료의 예상 물량 산정 실패로 사다리차 1회 추가 됨)

 

2. 업체선정

1) 전문업체 : 섭외실패(작은 공사규모가 사유임)

2) 전단계 공사업체를 통해 소개받은 개인(알바)들을 투입

 

3. 공사기간

1) 당초 4일 소요 예상했으나, 2일 소요됨(예상보다 작은 공사였습니다.)

2) 공사 축소의 원인 : 공사방식 및 업체의 변경

 

◈ 공사비용 집계

 

◈ 맺음말

이상과 같이 2층 방통공사에 대한 소요비용 집계과정을 소개했습니다.

촬영이미지‘before&after’에서는 after가 다소 멋이 없어 보이는데, 실제로 방통공사를 마치기 전이 흉가(?...^^;;)였다면 방통공사를 마치고 난 이후부터는 그래도 건물이라는 느낌이 살아나기 시작했었습니다.

 

당시 업체선정이 왜 그렇게도 힘들었는지, 지금 생각해보면 참 우스운 일이었습니다. 그런 걸로 본다면 그 당시 저의 수행능력에 비해서 지금은 매우 유능한 인력이 되어 있는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ㅋㅋ)

 

 

다음은 2층 조적공사 편을 준비하여 경험한 과정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04. 28....블로그 작성자 올림_rev1.0

반응형